> 종합(국회의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강득구 국회의원, 미디어 정보활용 정책토론회 개최
양정애 연구위원, “미디어 리터러시 필수적 교육 법적마련을”

박정애 위원,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해야”

기사입력  2021/08/23 [11:50] 최종편집    채흥기 기자

 

▲ 국회 교육위 소속 강득구 국회의원은 지난 20일 <인쇄.디지털 정보를 올바르게 읽고 활용하는 능력,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더민주, 안양만안)은 지난 20일 오후 ‘인쇄·디지털 정보를 올바르게 읽고 활용하는 능력,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라는 주제로 「학생들의 미디어 및 정보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한국도서관협회,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사서교사노동조합,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공동주관하고, 강득구·도종환·박정·한무경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는 실시간으로 유튜브 온라인 스트리밍을 진행됐으며, 지정토론 이후에는 질의응답을 포함한 종합토의가 진행되었다. 토론회는 강득구TV로 다시 시청할 수 있다.

 

강득구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는 정보 선택에 대한 분별력을 키우고, 정보를 적합하게 활용하도록 강화하는 교육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지금 시대에 필수적인 교육으로 미비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 제하의 발표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래 핵심역량이자 21세기 교육모형임을 강조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해 공교육과정과 관련 법제 정비 및 전문성 갖춘 교사·강사 양성 등을 제시했다.

 

이어 두 번째로 주제발표자로 나선 박주현 학교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위원장은 현재 학생들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 역량이 부족함을 지적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해외 교육 정책 사례를 예시로 들었다. △학교도서관진흥법에 미디어교육과 정보활용교육 명시 △학생 개개인에게 맞는 미디어교육과 정보활용교육을 수행하는 지원 체계 구축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 △사서교사 양성인원 및 배치율 확대 등을 제안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토론에서 심하나 양청중학교 사서교사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이 다양한 교과에서 이뤄지는 수업사례를 들며, 학교도서관이 미디어 교육을 선도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피력했다. 정경숙 대전버드내중학교 교감은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교육 강화에 대한 사례를 들며, 미디어 리터러시의 제도화가 절실함을 역설했다.

 

이창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시대에 미디어를 매개로 한 소통과 참여가 중요함을 강조하며, 미디어 리터러시가 이용자들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키고 시민성을 증진시킨다며 효과를 역설했다. 김주상 경산과학고 사서교사는 정보매체와 도서관의 필연적인 관계에 대해 강조했으며, 다양한 교과서의 교육과정을 설명하며, 정보활용교육 중심의 미디어 교과서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어효진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장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학생미디어정책참여단’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임을 설명하며, 타 부처와 함께 미디어교육에 대한 체계를 구축해나갈 것임을 밝혔다.

 

<이 기사는 구글에서 번역되었습니다>

 This article was translated by Google.

 

On the afternoon of the 20th, Rep. Kang Deuk-gu (The Min-ju, Anyang Man-an),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held the theme of 'How to improve the ability to read and use printed and digital information correctly?' policy discussion for the

 

The discussion was co-hosted by the Korea Library Association,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Organizations, the National Teachers and Staff Labor Union, the National Librarian Teachers' Union, and the Korean School Library Association, and was co-hosted by Kang Deuk-gu, Do Jong-hwan, Park Jeong, and Han Moo-kyung.

 

The discussion forum was streamed online on YouTube in real time, and after the designated discussion, a comprehensive discussion including Q&A was held. The discussion can be watched again on Kang Deuk-gu TV.

 

In his greetings, Rep. Kang Deuk-gu said, “Media literacy is an education that fosters discernment in information selection and reinforces the use of information appropriately. Media literacy is an essential education in the present age, and we will make an active effort to provide an insufficient legal basis.”

 

Yang Jeong-ae, a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Korea Press Foundation, who was the subject speaker, emphasized that media literacy is a core competency of the future and an educational model for the 21st century through a presentation under the heading ‘The Necessit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Policy Direction’. She also suggested public education courses and related legislation to promote media literacy education, as well as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with expertise.

 

Park Joo-hyeon, chair of the School Library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es, who was the second speaker to present the topic, pointed out that current students lack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cited examples of overseas education policies to improve them. It was proposed to △ specify media education and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in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performing media education and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tailored to each student △ develop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 increase the number and placement rate of librarian teachers. .

in the discussion following the presentation of the topic, Librarian Shim Hana Yangcheong Middle School gave examples of classes in which media literacy classes were conducted in various subject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school library to play a leading role in media education. Jeong Kyung-sook, vice principal of Daejeon Birdnae Middle School, emphasized the need for institutionalization of media literacy, citing examples of strengthening media education at school sites.

 

Changho Lee,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edia-mediated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age, and emphasized the effect that media literacy promotes social participation of users and enhances citizenship. Kim Joo-sang, a librarian at Gyeongsan Science High School, emphasized the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media and libraries, explained the curriculum of various textbooks, and emphasized the need to develop media textbooks centered on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Eo Hyo-jin, hea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Depart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xplained that various projects such as the 'Student Media Policy Participation Group' would be promot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announced that it would build a system for media education with other ministries.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