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피플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터뷰]최재천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공동위원장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기사입력  2021/11/23 [20:10]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김부겸 국무총리와 함께 지난 10월 13일 출범한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사회 생물학자 겸 생태학자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동물학과를 졸업한 후 1979년 미국으로 유학,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생태학 석사과정을 거쳐 하버드 대학교에서 생물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 미시간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됐으나 1994년에 귀국한 후 2006까지 서울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07년부터는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부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12년에는 세계적인 환경운동가이자 침팬지 연구가인 제인 구달 박사와 손잡고 ‘생명다양성 재단(J&J Biodiversity Foundation)’을 설립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초대 국립생태원장을 맡았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한국이 의장국을 맡았던 제13차 UN CBD(U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UN 생명다양성협약) 당사국회의 의장을 맡았다.

 

또 김부겸 국무총리와 함께 지난 10월 13일 출범한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그는 학자로서도 많은 성취를 이뤄냈다. 세계의 내로라하는 학자들이 참여해 2010년 영국 출판사가 발간한 <동물생물학 백과사전>의 무척추동물사회행동 부문 편집장으로 발탁될 만큼 그의 명성은 높다. 그는 격년으로 열리는 국제사회성곤충연구회에서 2014년 학술발표회의 기조강연을 하기도 했다. <개미제국의 발견>, <통섭의 식탁>,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등 30여 권의 책을 단독 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저술했으며, <제인 구달의 생명 사랑 십계명> 등 여러 권의 책을 번역 출판했다.

 

지난 10월 11일부터 24일까지 중국 운남성 쿤밍에서 열린 제15차 UN CBD 당사국회의와 관련 소회 등을 듣기 위해 최재천 교수를 최근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에 있는 그의 사무실 서재에서 만났다.

 

▲ 2016년 7월 15일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에서 열린 ‘우리 들꽃 포토 에세이 공모전’ 시상식에서 최재천 원장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서 상장을 시상해 잔잔한 감동을 줬다.     ©

 

지구상의 생명다양성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존재는 인류라고 본다. 생명다양성을 파괴한 반대급부로 인류는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어느 정도의 위험에 처해 있다 보는가?

 

“너무 심각해져서 정말 특단의 조치가 필요할 것 같다. 나의 스승이신 하바드대학의 E.O. 윌슨 교수는 <절반의 지구>라는 책까지 쓰셨다. ‘지구의 절반을 따로 떼놓자.’ 그런 과격한 제안을 했다. 그렇게까지 하지 않는 한 미래는 암울하다. 프란체스코 교황님은 2019년 11월에 ‘에콜러지컬 신(ecological sin)을 인류의 원죄에 포함시킨다’ 선언하셨다. 생태 파괴를 원죄라 선언하시고 두 달도 안 돼 코로나19가 터졌다. 교황님은 뭔가 다급하신 마음이 있으셨던 게 아닐까. 뭔가 밀려오고 있다 그렇게 느끼신 게 아닌가 생각 든다. 그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

 

기후변화 문제로 많은 분들이 걱정 하고 있다. 아마 인류는 기후변화보다도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을 파괴하면 그거로 인해 엄청난 고통을 받을 수밖에 없다. 우선 식량대란이 일어날 거다. 식량대란은 석유 대란과 다르다. 우리는 석유 한 방울 안 나지만 잘산다. 석유는 대체할 게 있다. 먹을 게 없으면 죽는다. 그 때문에 폭동이 일어나고 사회가 붕괴하고 말 거다.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생명다양성 유지를 위해서 인류가 어떤 형태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보는가?

 

이 문제는 국경이 없는 문제다. 어느 나라 혼자 잘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어쩔 수 없이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한 문제다. 그동안 가장 말도 안되는 짓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1위, 세계에서 가장 부자 나라인 미국이 오바마 대통령 빼놓고는 공화당 대통령들이 계속 어깃장을 지른 거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협약에서 탈퇴를 해버렸을 정도였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제일 먼저 한 게 파리기후협약 재조인이다. 그것은 굉장한 상징성이 있는 거다. 문제가 심각하다 하는 것을 미국 국민과 세계에 확실하게 알린 거니까 바이든 대통령의 공이 크다.

 

국제기구가 참 비효율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협의가 없으면 한 발자국도 못나가지 않느냐? 그 일은 그 일대로 어떤 대단한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해야 하는 거다.

 

그와 함께 우리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변하지 않으면 아무리 저 위에서 제도적으로 뭘 해본들 변화가 없을 거 아니냐? 나는 종종 생물다양성 관련해서 ‘아주 불편한 진실과 조금 불편한 삶’ 그런 제목으로 강연을 많이 한다. 진실은 아주 불편하다. 그런데 그 불편한 진실에 대응하는 방법이 어느 날 갑자기 정말 위대한 과학자가 끝내주는 기술을 하나 개발해서 모든 문제를 단칼에 해결한다 그럴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거는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내 삶을 조금만 불편하게 할 각오를 하면 정말 변할 수 있다.

 

진짜 우리 생활에서 환경을 보호할 할 수 있는 일들을 조금씩 조금씩 하면 달라질 것이다. 생태적 전환이다. 우리의 사고를 전환시켜서 조금씩 달라지는 삶을 살아야 되는 거라 생각한다.

 

▲ 최재천 교수가 2016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UN CBD 의장으로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

 

올해 중국 쿤밍에서 개최된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당사국총회’의 주제는 “생태문명: 지구생명공동체 만들기”이다. 한국에서 열린 CBD 당사국총회 의장으로서의 경험, 초대 국립 생태원장으로서의 경험 등에 비춰 이번 운남 생명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를 어떻게 평가하시는가?

 

“생태문명: 지구생명공동체 만들기”라는 주제가 정말 좋다. 시의적절하고 좋은 주제라고 생각했고, 이번 운남회의에서 문명적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모아 주셔서 감사드린다.

 

국제회의에서 합의를 이룬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인데 중국이 이제는 상당히 책임지는 나라의 모습을 많이 보인다. 중국이 당사국 총회를 유치한다고 할 때 나는 아주 고맙다 생각했다. 한국에서 총회를 개최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또 동아시아에서 개최하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유치한 것이다. 이제는 중국이 세계의 리더로서 역할을 하겠다는 그런 의지를 보인 거라고 판단했다. 국제회의에서 위상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앞으로도 미국이 잘못한 그런 일을 중국이 좀 잘 해주기를 기대한다.”

 

선생님은 지난해 6월의 ‘CAC 글로벌 서밋 2020’ 마무리 발언에서 “바이러스는 결코 인류를 절멸하지 못한다. …… 기후변화는 다르다. 우리를 마지막 한 명까지 깡그리 죽일 수 있다”고 하셨다. 기후변화에 인류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이미 우리가 저질러 놓은 과오가 너무 크다. 그래서 지금 이 순간 거의 무슨 루소의 얘기처럼 ‘자연으로 돌아가라’ 하는 수준으로 돌아가도 한동안은 기후변화가 멈추지는 않을 거다. 이미 배출해 놓은 온실 기체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관성에 의해서 한동안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게 과학자들의 판단이다. 근데 이게 다른 어떤 문제랑 달라서 하루아침에 벌어지는 일은 아니다. 기후는 점진적으로 나빠지다가 어느 순간에 임계점을 넘으면 걷잡을 수 없이 나빠질 거라고 얘기는 하는데 일반인들은 그 임계점이 언제인 줄 모르니까 그냥 ‘심각하다는데 심각하다는데’ 이러면서 바뀌지 않고 그냥 살던 대로 살아가는 거다.

 

나도 ‘그런 일이 5년 안에 벌어진다’ 그렇게 얘기하지는 않는다. 정확히 모르고. 그럴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면 그걸 무시하는 것보다는 그거에 대응하는 게 현명한 일이다. 상당수의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무시하려고 하고 상당수의 사람들은 ‘글쎄 뭐 그럴 가능성은 있는데 설마 내 생애에 벌어지겠어’ 이런 식으로 살아가는데 내 생애에 벌어질지도 모른다.

 

나는 정말 이 문제를 많은 분들이 대단히 심각하게 인식하고 하루빨리 자기의 삶을 고쳐나가는 일에 동참해 주셔야 같이 살아남을 수 있다 생각한다.

 

▲ 국립생태원에 있는 에코리움 사막관 프레리독 전시관 앞에서 아이들과 함께 하고 있는 최재천 원장.     ©

 

1980년 미국에 유학하던 시절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으시고 인생관, 가치관, 세계관이 하루아침에 송두리째 바뀐 적이 있다는 선생님의 칼럼을 읽은 적이 있다. ‘이기적 유전자’가 선생님께 어떤 영향을 미친 것인지 궁금하다.

 

“지금도 생물학 박사과정에 있는 학생들 중에도 도킨스의 이론을 모르는 사람도 무지무지 많다. 이게 굉장히 혁신적인 관점이다. ‘내가 내 삶의 주인이 아니라 내 유전자가 내 삶의 주체다’라는 거는 굉장히 혁명적인 관점의 변화다. 그 변화를 그날 밤에 경험하고 나는 세상이 다 달라 보이기 시작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이 많은 어쩌면 모순 같은 일들이 관점을 달리 갖고 보니까 다 보이더라. ‘그렇지 그러니까 이렇게 하는 거겠지.’ 세상이 막 보이기 시작하니까 그 환희로 미치겠더라. 어렸을 때부터 ‘왜 사람들은 저러고 살지’ 뭐 이런 세상살이에 대한 궁금증 같은 게 있었다. 그게 설명이 되기 시작하니까 와 미치겠더라. 그 흥분이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너무나 기가 막힌 경험이었다.

 

‘이기적인 유전자’가 실제로 내 삶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학창생활을 돌이켜 보면 나는 충분히 화려한 삶을 추구할 가능성이 농후한 사람인데 어쩌면 그때의 깨달음이 비교적 올바르게 살 수 있게 해주지 않았나 생각한다.”

 

▲ 2016년 UN CBD 의장으로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최재천 교수(오른쪽).     ©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라는 책에 이어 쓴 책 <호모 데우스>에서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서 ‘신이 된 인간’을 다루고 있다. 반면에 선생님은 <호모 심비우스>라는 책을 쓰시기도 하셨지만 공생하는 인간을 강조하고 계신다. 공생하는 인간으로서 호모 심비우스는 어떠한 존재며 인류는 어떻게 진화해 가고 있다고 보는가?

 

“자연계에서는 ‘공생하는 존재가 살아남는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나는 퍽 오래 전에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라는 책을 썼다. 그게 내 나름대로의 평생의 학문의 결론 같은 거다. 내가 평생 자연을 관찰하면서 보니까 손잡은 놈들이 손 못 잡은 놈들한테 이긴다. 혼자 살아남은 게 아니라 같이 살아남은 자들이 살아남은 거다. 그런 차원에서 호모 심비우스라는 말을 만든 거다. 호모 사피엔스 ‘현명한 인간’이라고 스스로를 너무 추켜세우는데 우리가 진짜 현명하면 이렇게 지구를 망가뜨릴 수 없다. 자기 집을 망가뜨리고 사는 동물이 결코 현명한 동물은 아닐 거다. 그거보다 ‘저 자연은 손잡고 산다. 우리도 손잡고 살자.’ 그러면 나아질 거다. 이런 뜻으로 그 얘기를 처음 한 게 1999년도였다. 지금 20년이 훌쩍 넘었다. 호모 루덴스, 호모 뭐, 호모 뭐. 유행처럼 그런 용어 만들어낸 사람들 많잖은가. 호모 심비우스 인기 없었는데 최근에 주목을 다시 받더라.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 수정한 영문의 <전문>이다.

[Below is an English <Full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Interview] Choi Jae-chun, co-chair of the Corona 19 Daily

Recovery Support Committee

 

“No life has survived without holding hands”

 

Jae-Chun Choi, chair professor at Ewha Womans University, is a world-class social biologist and ecologist born in Korea.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Zo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in 1979, went on to earn a master's degree in ecology from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nd then received hi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biology from Harvard University. He was appointed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1992, but after returning to Korea in 1994, he served as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until 2006.

 

In 2012, he founded the J&J Biodiversity Foundation in partnership with Dr. Jane Goodall, a world-renowned environmentalist and chimpanzee researcher. From 2013 to 2016, he served as the first National Director of Ecology, and from 2014 to 2016, he chaired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13th U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UN CBD), which was chaired by Korea.

 

He also co-chaired the ‘Covid-19 Daily Recovery Support Committee’ launched on October 13 with Prime Minister Kim Bu-gyeom.

 

He also achieved many achievements as his scholar. His reputation is so high that he was selected as the editor of the invertebrate social behavior section of <Encyclopedia of Animal Biology>, published by a British publishing company in 2010 with the participation of world-renowned scholars. He also gave a keynote lecture at the 2014 academic presentation at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ocial Insect Research held every other year. He has authored more than 30 books alone or with others, including <Discovery of the Ant Empire>, <The Table of Consolidation>, and <No Life Survives Without Hands>. The book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To listen to the 15th UN CBD Conference of the Parties and related briefs held in Kunming, Yunnan Province, China from October 11th to 24th, Professor Jaecheon Choi recently met in the study room of his office at Ewha Womans University General Science Hall.

 

The greatest threat to biodiversity on Earth is humanity. In return for destroying biodiversity, human survival is threatened. How risky do you see yourself?

 

“It has become so serious that it seems that special measures are necessary. My teacher, Harvard University's E.O. Professor Wilson even wrote a book called Half the Earth. 'Let's set the Earth apart,' he made such a radical proposal. Unless we do that, the future is bleak. Pope Francis declared in November 2019 that “the ecological sin is included in the original sin of mankind”. Declaring ecological destruction as the original sin, Corona 19 broke out within two months. The Pope must have had a sense of urgency. Something is coming, I think you must have felt that way. That's how serious the problem is.

 

Many people are concerned about climate change. Perhaps more than climate change, if climate change destroys biodiversity, humankind will inevitably suffer tremendously from it. First, there will be a food crisis. The food crisis is different from the oil crisis. We don't produce a drop of oil, but we live well. There is no substitute for oil. If you don't eat, you die. Because of that, riots will occur and society will collapse. It's usually not a serious problem.

 

What kind of effort do you think humankind should make to maintain

biodiversity?

 

This problem has no borders. No country can do it alone. It is an issue that inevitably requires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most absurd thing so far is that the Republican presidents have continued to quarrel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is the world's largest carbon dioxide emitter and the richest country in the world, with the exception of President Obama. President Trump even withdrew from the Paris Agreement.

 

The first thing Biden did when he took office was the re-signing of the Paris Agreement. It has great symbolism. President Biden has a lot of credit for making it clear to the American people and the world that the problem is se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very inefficient. Nevertheless, without international consultations, is it not possible to go one step further? It has to be done while demonstrating some great leadership in that area.

 

If each of us doesn't change with him, no matter what we've done systematically up there, wouldn't it change? I often give lectures on biodiversity under the title of ‘Very Inconvenient Truths and A Little Inconvenient Life’. The truth is very uncomfortable. However, the way to deal with that uncomfortable truth is that one day, a really great scientist develops an amazing technology and solves all problems with a single blow. That seems unlikely. Then, if each of us is determined to make our life a little bit uncomfortable, it can really change.

 

If we do little by little that we can do to protect the environment in our lives, it will make a difference. It is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I think we have to change our thinking so that we can live a slightly different life.

 

The theme of the 15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held in Kunming, China this year is “Ecological

Civilization: Creating a Community of Life on Earth”. In light of your experience as the chairman of the CBD COP held in Korea and your experience as the first National cology Center, how do you rate the COP of the Yunna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e theme of “Ecological Civilization: Creating a Community of Life on Earth” is really good. I thought it was a timely and good topic, and thank you for collecting a lot of good ideas to achieve a civilized transformation at this Yunnan Conference.

 

Achieving an agreement at an international conference is not an easy task, but China is now showing a lot of appearances as a country with a lot of responsibility. When China said that it would host the COP, I was very grateful. It would not have been easy to hold the General Assembly in East Asia since it had just been held in Korea, but China actively invited it. Now, I judged that China has shown such a will to play a role as a world leader. Since its status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has changed a lot, I hope that China will do better in the future for the things that the United States did wrong.”

 

In the closing remarks of the ‘CAC Global Summit 2020’ held in June of last

year, the teacher said, “The virus will never destroy mankind. … … Climate

change is different. It can kill us down to the last one.” How should mankind

respond to climate change?

 

“When it comes to climate change, the mistakes we have already made are too great. So even if we return to the level of ‘return to nature’, almost as Rousseau said at this moment, climate change will not stop for a while. Scientists are judging that the greenhouse gases that have already been emitted are enormous, and that they will inevitably deteriorate for a while due to inertia. But unlike any other problem, it doesn't happen overnight. They say that the climate will deteriorate gradually, and if it crosses the critical point at some point, it will get worse out of control, but the general public doesn't know when that critical point is, so they just say, 'It's serious, but it's serious'.

 

I don't say 'that's going to happen in five years' either. I don't know exactly. It is very likely, then it is wiser to react to it than to ignore it.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actively try to ignore it, and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live this way, ‘We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happen in my life,’ and it may happen in my lifetime.

 

I really believe that many people take this problem very seriously and that we can survive together if you join us in fixing their lives as soon as possible.

 

When I wa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in 1980, I read Richard Dawkins' 'The Selfish Gene' and read a column by my teacher that my view of life, values, and world view had changed completely overnight. I wonder what kind of influence the ‘selfish gene’ had on teachers.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are still ignorant of Dawkins’ theory, even among the students who are still in their PhD in biology. This is a very innovative point of view. “I am not the master of my life, but my genes are the subject of my life” is a very revolutionary change of perspective. After experiencing that change that night, I started to see the world differently. So many of these potentially contradictory things we're doing can be seen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t’s right, that’s why I’m doing it this way.’ As the world was just starting to show, I went crazy with that ecstasy. Ever since I was a kid, I had a question like ‘why do people live like that’ or something like this. Wow, that's crazy when it starts to explain. The excitement was indescribable. It was such an amazing experience.

 

The ‘selfish gene’ actually made a huge difference in my life. Looking back on my school life, I am a person who is highly likely to pursue a splendid life, but I think that realization at that time did not allow me to live a relatively upright life.”

 

Yuval Harari's book <Homo Deus>, followed by <Sapiens>, deals with 'human beings who have become gods' as a new stage of ev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also wrote a book called Homo symbius, but he emphasizes the symbiosis of human beings. As a symbiosis human, what kind of existence do you think Homo symbius is and how do you see mankind evolving?

 

“In the natural world, I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symbiosis survives. I wrote a book called <No Life Survives Without Hands> a long time ago. That is like the conclusion of my own lifelong study. As I have observed nature all my life, those who hold hands win over those who do not hold hands. It's not that they survived alone, but those who survived together survived. In that sense, the term Homo Symbius was coined. Homo sapiens prides itself on being a 'wise man', but if we are really wise, we can't destroy the planet like this. An animal that lives by destroying its own house would never be a wise animal. Rather than that, ‘that nature lives hand in hand. Let's live together.' Then it will get better. The first time I talked about it in this way was in 1999. More than 20 years have passed now. Homo ludens, homo what, homo w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coined the term like a fad. Homo symbius wasn't popular, but recently it's been getting attention again.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모집
의왕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 취창업 컨설팅 참여자 모집
광고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