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경기도교육청, ‘교육역량 집중 나눔 주간’ 운영
교육연구회·교사연구년·신규 교사 역량강화 등 24년 성찰 25년 전망
기사입력  2024/12/10 [17:24]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지난 12월 7일부터 13일까지 올해 운영했던 교육연구회, 교사연구년, 신규교사 역량 강화, 학생 분리교육, 교사 창작자(크리에이터) 등 정책 성과를 짚어보고 2025년을 전망하기 위해 7일 초등등 ‘교육역량 집중 나눔 주간’을 운영한다. 경기도교육청은 12월 7일부터 디지털교과서 도입 대비 초‧중등, 행정직, 관계자 연수를 내년 2월까지 진행한다.

 

 

경기도교육청은 11일에는 도내 153개의 도 단위 교육연구회 및 250개의 디지털 교육연구회 소속 교원이 ‘경기교육연구 2024 페스타(FESTA)’를 개최한다.

 

임태희 교육감은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개최하는 이번 행사에는참석해 700여 명의 일선 교사들과 함께 학교 현안에 대해 깊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12일에는 그동안 추진했던 신규교사 역량 강화 정책을 진단하고 2025년부터 새롭게 펼칠 정책을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신규교사의 직무 투입 전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춘 각종 정책을 소개할 예정이다.

 

13일에는 경기도교육연수원(원장 심한수)과 함께 운영한 교사연구년제 학술대회 ‘꿈’을 진행한다. 190명의 연구년 실행 교사들은 지난 1년간 교육연구, 교육정책, 교육회복연구 영역에서 개인연구와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학술대회에서는 ‘학령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주 배경 학생의 기초학력 향상’ 등 현장 중심 연구와 경기도교육청 중점 정책인 아이비(IB) 연구 결과 등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날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아레나홀)에서는 특색사업으로 호응이 높았던 제1기 경기 교사 크리에이터(GT–CREATOR)가 교육용 자료(콘텐츠)의 가능성, 연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한 단기학습(마이크로 러닝) 등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밖에도 참가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98%의 만족도로 평가받은 ‘학생분리교육’도 집중 주간에 소개해 확산을 꾀한다.

 

경기도교육청은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비해 지난 12월 7일부터 초·중등 행정직원 등 관계자 연수를 내년 2월까지 진행함으로써 디지털 교육 시대에 필요한 교직원의 역량도 함께 높일 계획이다.

 

경기도교육청 이정현 교육역량정책과장은 “교육정책의 시작과 끝은 학교와 학생, 선생님”이라며 “교육역량의 정책 설계와 실행과정에 선생님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학교 교육을 살찌우는 결과를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perates ‘Educational Capacity Focus Sharing Week’

 

Reflecting on 24 Years, Prospecting for 25 Years, including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Teacher Research Year, and New Teacher Capacity Enhancement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Lim Tae-hee) will operate ‘Educational Capacity Focus Sharing Week’ for elementary schools on December 7 to 13 to review policy achievements such as the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Teacher Research Year, New Teacher Capacity Enhancement, Student Separate Education, and Teacher Creators that were operated this year, and to look forward to 2025.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conduct training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dministrative staff, and relevant personnel from December 7 to February of next year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On the 11th,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hold the ‘Gyeonggi Educational Research 2024 FESTA’ with teachers from 153 provincial-level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s and 250 digital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s in the province. Superintendent Lim Tae-hee will attend this event hel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Siheung Campus and hold in-depth discussions on current school issues with approximately 700 frontline teachers.

 

On the 12th, a meeting will be held to diagnose the polic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new teachers that has been promoted so far and explain the new policy to be implemented starting in 2025. Various policies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new teachers before they are assigned to their jobs will be introduced.

 

On the 13th, the ‘Dream’ academic conference of the Teacher Research Year System, run in collaboration with the Gyeonggi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Director Shim Han-soo), will be held. The 190 teachers who have been implementing the research year have conducted individual and joint research in the areas of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recovery research over the past year. At the academic conference, they plan to share their achievements, such as field-oriented research such as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School-Age Students’ and ‘Improvement of Basic Academic Ability of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IB research, a key policy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n this da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outhern Office (Arena Hall) will host a conference on topics such as the potential of educational materials (contents) and short-term learning (micro-learning) that pioneered a new paradigm in training, as well as the first Gyeonggi Teacher Creator (GT-CREATOR) that received a great response as a special project.

 

In addition, ‘student separation education’, which received a 98% satisfaction rating from participating students and parents, will be introduced during the intensive week to promote its spread.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lans to conduct training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dministrative staff and other relevant personnel from December 7 to February of next year, thereby also enhancing the capabilities of teachers and staff needed in the digital education era.

 

Lee Jeong-hyeon, head of the Education Capacity Policy Division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aid, “The beginning and end of education policy are schools, students, and teachers,” and added, “We will strive to bring about results that enrich school education by reflecting the voices of teachers in th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education capacity.”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