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경기도 최초 시행’ 돌봄·기후·안전·기회소득 정책 대한민국 혁신 이끌어
‘어디나 돌봄’·기후보험·6대 기회소득 등 타 지자체 벤치마킹
기사입력  2025/03/07 [16:52]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360도 어디나 돌봄’ 비전 선포식이 2023년 12월 7일 경기도청에서 열렸다.     ©

 

민선8기 경기도가 최초로 시행한 혁신 정책들이 1,420만 경기도민들에게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정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경기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전국 최초’로 실시해 타지자체의 모범이 된 정책들을 돌봄, 기후, 안전, 기회소득 등 4개 분야로 나눠 살펴본다.

 

사회적 약자 위한 ‘어디나 돌봄’ 정책

 

경기도의 ‘어디나 돌봄’ 정책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정책으로 △장애돌봄 야간·휴일 프로그램 운영 △최중증 발달장애인 맞춤 돌봄 △최중증 발달장애인 가족돌봄 사업 등 3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안양 등 19개 시군, 42개 운영기관에서 올해는 21개 시군, 43개 기관에서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맞춤 돌봄사업’은 최중증 발달장애인 60명을 선정해, 지난해 5월부터 월 최대 60시간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가족돌봄 사업’은 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온전히 가족이 돌보는 210가구를 대상으로 월 40만 원의 가족생활수당과 돌봄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031-120)’는 2022년 8월, 수원 세 모녀 사건을 계기로 시작된 대한민국 유일의 복지 전문 콜센터. 지난해까지 총 6,074명의 도민을 지원하며 위기 상황에 있는 경기도민이 필요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상담·제보 창구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앞장서고 있다. 경기도의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는 서울 25개 자치구와 전라남도 등 다른 시도로 전파되고 있다.

 

올해 새롭게 도입된 ‘간병SOS 프로젝트’는 광역지자체 최초로 65세 이상 입원환자에게 최대 120만 원의 간병비를 지원한다. 이외에도 △찾아가는 돌봄의료센터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지원(단기입원 간병비 또는 시설 이용실비) △경기형 가족돌봄수당(생후 24~48개월 아동대상, 최대 월 60만 원) △경기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연 40만 원) △한부모 아동양육비(월 10만 원) 지원 소득기준 완화 등 경기도 최초의 돌봄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대전환 선도

 

민선8기 경기도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를 위해 적극적으로 기후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기후보험’이 이달 중 전국 최초로 모든 도민을 대상으로 자동 가입되며 온열질환, 한랭질환, 감염병 등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후위성’을 발사해 국내 최초로 기후 데이터를 수집해 기후정책 고도화 및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에 나선다.

 

경기도가 최초로 시작한 기후 관련 정책으로 실측자료 기반 기후·에너지 정보를 구축하는 경기기후플랫폼과 산업단지 RE100 정책의 일환으로 기업 부지를 활용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사업 역시등이 있다.

 

‘농어업소득 333 프로젝트’는 3년 내 농어업 소득 30% 증대를 목표로 310명의 농어업인에게 맞춤 지원을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2월 26일 여주 SKB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비전 발표를 하고 있다.     ©

 

10년 연속 ‘지역안전지수’ 전국 최다 분야 1등급 획득

 

경기도는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공표한 ‘지역안전지수’에서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대응에서 1등급을 받아 10년 연속 지역안전지수 전국 최다 분야 1등급을 기록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6월부터 전국 최초로 재난복구지원 군 장병 상해보험 가입을 지원하고 있다. 군 장병이 재난복구 현장에 동원 중 사망, 후유장해 발생 시 최대 5,000만 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지난해 1,021명의 군 장병의 가입을 지원했다. 이 사업은 전북, 충북 등 타 지자체에서도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경기도는 대설 피해 농가를 위해 171억 원의 철거비를 추가 지원해 신속한 피해복구를 도왔다. 자연재난을 입은 농어가의 긴급 응급복구에 도비를 지원한 것은 경기도가 처음이다.

 

이 밖에도 △젠더폭력 피해자를 위한 ‘젠더폭력 통합대응단’ △긴급차량 이동 시 자동 녹색신호를 제공하는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 △신속한 소방 민원처리를 위한 ‘일사천리 광역소방민원지원센터’ 운영 등 전국 최초의 안전 정책들을 선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6대 기회소득으로 선한 영향력에 가치 더해

 

민선8기 경기도는 예술인·장애인·기후행동·아동돌봄·체육인·농어민 등 6개 분야에서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적 활동에도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는 ‘기회소득’ 정책을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했다.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걷기, 자전거 이용, 배달음식 다회용기 이용 등 친환경 활동을 인증한 도민에게 최대 연 6만 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하는 사업으로, 출시 8개월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지난해 7월 시작한 ‘아동돌봄 기회소득’은 공동체에서 아동을 돌보는 참여자에게 활동시간에 따라 소득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함께 키우는 공동육아’의 가치를 확산시키면서 3월 현재 104개 돌봄공동체가 활동 중이다.

 

이밖에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훈련장애인에 1인당 월 16만 원의 기회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는 인천시와 서울시 동대문구 등으로 전파됐다.

 

또한, 경기도는 발달장애인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예술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기도 AI창작단, 기술직군으로 한정됐던 고졸 공무원 선발을 행정직군으로 확대하는 고졸 행정직군 우수인재 추천제 채용으로 도민의 기회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경기도가 먼저 시작한 다양한 혁신 정책들이 중앙정부와 타 지자체들이 벤치마킹하면서 전국적인 정책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모든 정책은 1,420만 도민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더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며, 더 나은 삶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정책을 발굴해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모범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gi Province’s First Implementation’ Care·Climate·Safety·Opportunity Income Policy Leads Innovation in Korea

 

‘Care Anywhere’·Climate Insurance·6 Opportunity Incomes, etc. Benchmarking Other Local Governments

 

 

The innovative policies first implemented by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8th local government election are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more equal opportunities, and better opportunities to 14.2 million Gyeonggi Province residents, and are setting a new standard for policies in Korea. We will examine the policies that Gyeonggi Province implemented ‘first in the nation’ in various fields and became a model for other local governments, divided into four areas: care, climate, safety, and opportunity income.

 

 

‘Care Anywhere’ Policy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Gyeonggi Province’s ‘Care Anywhere’ policy is a welfare policy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consists of three projects: △Operation of Night and Holiday Programs for Disability Care, △Customized Care for the Severely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Family Care Project for the Severely Developmentally Disabled. Last year, 19 cities and counties including Anyang and 42 operating organizations provided customized care services, and this year, 21 cities and counties and 43 organizations are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The ‘Customized Care Project for the Most Severely Developmentally Disabled’ has selected 60 people with the most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as been providing up to 60 hours of care services per month since May of last year. The ‘Family Care Project for the Most Severely Developmentally Disabled’ is providing a family living allowance of 400,000 won per month and community linkage services to prevent care exhaustion for 210 households that cannot use welfare services and are solely cared for by their families.

 

The ‘Emergency Welfare Crisis Counseling Call Center (031-120)’ is the only welfare call center in Korea that started in August 2022 in response to the Suwon three-daughter incident. It has supported a total of 6,074 residents as of last year, and is leading the way in eliminating blind spots in welfare as a counseling and reporting window where Gyeonggi residents in crisis situations can seek help when needed. Gyeonggi-do's 'Emergency Welfare Crisis Counseling Call Center' is being expanded to 25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and other cities and provinces, including Jeollanam-do.

 

The 'Care SOS Project' newly introduced this year is the first among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to provide up to 1.2 million won in care expenses for hospitalized patients aged 65 or older. In addition, Gyeonggi-do's first care policies are attracting attention, such as △Visiting Care Medical Centers △Dementia Family Care Peace of Mind Vacation Support (short-term hospitalization care expenses or facility usage expenses) △Gyeonggi-type Family Care Allowance (for children aged 24 to 48 months, up to 600,000 won per month) △Support for Gyeonggi-do pregnant women's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400,000 won per year) △Single-parent child support expenses (100,000 won per month) and relaxation of income standards.

 

 

Leading the Great Trans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limate Economy

 

Gyeonggi-do, the 8th elected government, is actively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future. ‘Climate Insurance’ will be automatically subscribed to all residents for the first time nationwide this month, and coverage for heat-related illnesses, cold-related illnesses, infectious diseases, etc. will be provided. In addition, a ‘climate satellite’ will be launched to collect climate data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efforts will be made to advance climate policy and respond to global carbon regulations.

 

Gyeonggi Province’s first climate-related policy includes the Gyeonggi Climate Platform, which builds climate and energy information based on actual measurements, and a business that provides incentives for producing renewable energy using corporate sites as part of the RE100 policy for industrial complexes.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Income 333 Project’ aims to increase agricultural and fishery income by 30% within three years,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to 310 farmers and fishermen, and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Gyeonggi-do received the highest grade in the ‘Regional Safety Index’ for 10 consecutive years in the most categories nationwide

 

Last year, Gyeonggi-do received the highest grade in traffic accidents, fires, daily life safety, suicide, and infectious disease response in the ‘Regional Safety Index’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cording the highest grade in the most categories nationwide for 10 consecutive years.

 

Since June of last year, Gyeonggi-do has been supporting the subscription of disaster recovery support military personnel accident insura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nation. It provides up to 50 million won in benefits in the event of death or permanent disability of military personnel while mobilized to disaster recovery sites, and supported the subscription of 1,021 military personnel last year. This project is expanding as other local governments, such as Jeollabuk-do and Chungcheongbuk-do, enact related ordinances.

 

Last November, Gyeonggi-do provided an additional 17.1 billion won in demolition costs to farmers damaged by heavy snow to help them recover quickly. This is the first time that Gyeonggi-do has supported the emergency recovery of farmers and fishermen affected by natural disasters. In addition, it is leading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policies that are the first of their kind in the country, such as the ‘Gender Violence Integrated Response Team’ for victims of gender violence, the ‘Wide Area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System’ that automatically provides a green light when emergency vehicles are moving, and the ‘Ilsacheonri Wide Area Fire Service Support Center’ for rapid fire service complaints.

 

 

Adding value to positive influence with 6 major opportunity incomes

 

The 8th local government-elected Gyeonggi Province introduced the ‘opportunity income’ policy, which provides fair compensation for social activities that are not recognized in the market, in 6 fields including artists, the disabled, climate action, child care, athletes, and farmers and fisherme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Climate Action Opportunity Income’ is a project that provides up to 60,000 won in local currency per year to residents who certify eco-friendly activities such as walking, riding a bicycle, and using reusable containers for delivery food. It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itself, surpassing 1 million subscribers in just 8 months since its launch. In addition, the ‘Childcare Opportunity Income’ that started in July of last year is operated by paying income to participants who care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ir activity hours. As of March, 104 care communities are active while spreading the value of ‘joint childcare’.

 

In addition, an opportunity allowance of 160,000 won per month is paid to disabled persons trained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is has been spread to Incheon City and Dongdaemun-gu, Seoul.

 

In addition, Gyeonggi Province i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residents by establishing the Gyeonggi Province AI Creation Group, which support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ngage in artistic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high school graduate administrative personnel, which expands the selection of high school graduate civil servants, which was limited to technical positions, to administrative positions.

 

Various innovative policies that Gyeonggi Province first initiated are becoming national policy models as the central government and other local governments benchmark them.

 

Governor Kim Dong-yeon said, “All policies promoted by Gyeonggi Province are aimed at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to the 14.2 million residents, guaranteeing fairer opportunities, and creating a better life,” and emphasized, “We will continue to discover innovative policies that lead the Republic of Korea and create an example of local autonomy in the Republic of Korea.”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