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양여성의전화가 세계여성의날(3.8) 기념 캠페인을 진행했다. ©
|
안양여성의전화가 세계여성의날(3.8)을 기념해 지난 3월 7일 안양 중앙성당 앞에서 캠페인을 진행했다. 안양여성의전화 회원들 6.15 경기중부 평화연대 회원들은 시민들에게 장미를 나눠주고, 세계여성의날의 역사·빵과 장미의 상징·각국의 세계여성의 날 기념방식 등을 알리는 판넬을 전시하고, 여성들을 위한 응원스티커 참여 이벤트 등을 진행했다.
세계여성의 날은 1908년 3월 8일 미국의 약 1만5,000여명의 여성노동자들이 뉴욕광장에 모여 노동시간단축, 임금인상, 노동환경개선, 여성투표권쟁취를 외치며 “우리에게 빵과 장미를 달라”고 외쳤던 역사적인 날에서 유래한다.
우리나라도 이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해 매년 3월 8일이 되면 시민들에게 장미를 나눠주며 여성으로 살아온 서로를 응원하는 시간들이 됐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nyang Women's Hotline, '3.8 International Women's Day' Campaign
Anyang Women's Hotline held a campaign in front of Anyang Central Cathedral on March 7 to commemorate International Women's Day (3.8). Anyang Women's Hotline members and members of the 6.15 Gyeonggi Central Peace Solidarity distributed roses to citizens, displayed panels informing citizens about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Women's Day, the symbol of bread and roses, and how each country celebrates International Women's Day, and participated in a cheering sticker participation event for women.
International Women's Day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day on March 8, 1908, when approximately 15,000 female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gathered in New York Plaza and shouted, "Give us bread and roses," calling for shorter working hours, higher wages, improved working conditions, and women's suffrage.
Korea also designated this day as a legal commemorative day, and every year on March 8, they distributed roses to citizens and cheered each other on as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