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시·군과 공공기관 등에서 공문서 내 공공언어를 더 쉽고 바르게 작성하도록 7월 19일부터 8월 24일까지 국어책임관 교육프로그램 ‘공공언어 쉽고 바르게 쓰기 강의실’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은 경기도와 국립국어원, 안양대학교 국어문화원 주관으로 경기문화재단 상상캠퍼스에서 도내 국어책임관 74명과 홍보담당자 74명 등 1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국어책임관은 국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한 업무를 총괄하는 직책으로, 2005년 국어기본법 제정으로 경기도 1명(현 문화종무과장)과 31개 시‧군이 지정됐다. 2014년 관련 조례 제정 이후 경기도 직속기관 15곳, 공공기관 27곳 등이 추가돼 총 74명이 지정됐다.
특히 2021년 국어기본법 개정으로 올해부터 정부 합동 평가 등에서 공공기관 공문서 평가가 의무화돼 국어책임관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이번 교육 내용은 △국어책임관의 역할과 임무를 살피는 국어책임관 제도의 이해 △국어정책의 현황과 과제 △언어복지 정책(수어·점자 진흥)의 이해 △공공언어의 이해 등이다. 아울러 일반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실무자들이 쉽고 바른 공공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실습 강의도 포함했다.
경기도 국어책임관인 김영태 경기도 문화종무과장은 “국어책임관 교육은 경기도에서 올해 최초로 실시하는 사업으로, 경기도, 시·군, 공공기관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며 “읽기 쉽고 쓰기 편한 공공언어를 사용해 도민 친화적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도 소속 공직자를 교육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gi-do,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yang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Officers’
Development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lectures to improve public language such a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policy and tasks
Gyeonggi-do is conducting the ‘Easy and Correct Writing in Public Language Classroom’,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Korean language officer from July 19 to August 24, so that the city/gun and public institutions can write public language in public documents more easily and correctly.
This education is hosted by Gyeonggi Provinc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nyang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and will be held at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Sangsang Campus for 148 people, including 74 Korean language officers and 74 public relations officers.
The Korean language officer is responsible for overseeing work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with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in 2005, one person in Gyeonggi-do (currently head of the Cultural Affairs Division) and 31 cities and counties were designat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related ordinance in 2014, 15 institutions directly under Gyeonggi Province and 27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added, making a total of 74 people.
In particular, due to the revision of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in 2021, the evaluation of public documents from public institutions will be mandatory from this year in joint evaluations with the government, thus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 officer.
The contents of this education are △Understanding th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Officer examining the roles and duties of the Korean Language Officer,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Korean language policy, △Understanding the language welfare policy (promotion of sign language and Braille), and △Understanding the public language. In addition, practical lectures are included so that practitioners wh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general public can use the public language easily and correctly.
Gyeonggi Provincial Language Officer Kim Young-tae, head of Gyeonggi Cultural Affairs Division, said,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officer is the first project implemented this year in Gyeonggi-do, and active participation of public officials from Gyeonggi-do, Si/gun, and public institutions is required. We will educate public officials in the province so that they can promote citizen-friendly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