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국회의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강득구 의원, ‘교육감 선거제도 개편 정책토론회’ 개최
1만8천여 명 교육주체 설문조사 기반 미래형 교육감 선거제도 공론장 열어
기사입력  2022/07/29 [14:36]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강득구 의원이 ‘교육감 선거제도 개편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이 7월 28일, 국회에서 ‘교육감 선거제도 개편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강득구, 고영인, 김교흥, 김민석, 김회재, 민병덕, 양이원영, 이용빈, 이원욱 의원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가 공동주최했다. 좌장은 이길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맡았다.

 

토론회 시작에 앞서, 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이 교육감 선거과정의 소회를 언급하며, 교육감 직선제에 의한 교육자치는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제도로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제를 맡은 김성천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장은 선거비용지출액과 지난 지방선거 무효투표수 등을 문제로 언급하며, 교육감 선출제도의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교육주체 1만8,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며, 직선제의 골간을 유지하면서 노출된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 이현우 인천 은하수학교 1기 대표는 만 16세로 교육감 선거 연령을 인하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해 언급했다. 이윤경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회장은 교육감 선거 문제는 ‘깜깜이’와 ‘무관심’임을 지적하며,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법률적 한계와 대중적 인식이 개선되지 않는 한, 정당 정치에 기반한 교육감 선거제는 시기상조임을 강조했다.

 

황유진 경기교사노동조합 정책연구국장은 지방교육자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교육감 선거공영제 도입 및 교육감 교육 경력 강화 △현직 교원의 교육감·교육위원의 피선거권 보장 및 교육위원 주민 직선 비례대표 선출 등을 제안했다. 장승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위원은 교육감 직선제가 갖는 의의에 대해 언급하며, 중요한 것은 과거의 실수를 답습하지 않고, ‘민주주의·지방자치·교육자주’라는 지방교육자치의 헌법적 가치를 온전히 지켜나가는 것이라 주장했다.

 

김영식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교육감 직선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보완책을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타당한 개선방안이라며, 정당제도를 활용한 정당 기반의 후보 단일화 추천제와 교사의 참정권 확대 등을 제안했다.

 

박진하 교육부 지방교육자치팀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가 큰 의미가 있다며, 교육과 정치를 분리하고 싶은 교육 주체들의 염원이 내재된 결과라고 밝혔다. 또한, 헌법에서 명시하는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득구 의원은 “지방자치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에서 중요한 가치인 만큼, 교육자치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며, “오늘 진행된 기자회견과 토론회에서, 현행 교육감 선거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에 대해 실질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 Kang Deuk-gu held the ‘Policy Debate on the Reform of the Superintendent’s Election System’

 

Open the public forum for the future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based on a survey of 18,000 education subjects

 

 

On July 28, Rep. Kang Deuk-gu (Democratic Party, Anyang Man-an),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Education Committee, held a ‘Policy Debate on the Reform of the Superintendent’s Election System’ at the National Assembly.

 

The discussion was co-hosted by Rep. Kang Deuk-gu, Ko Young-in, Kim Gyo-heung, Kim Min-seok, Kim Hoe-jae, Min Byeong-deok, Yang Yi-won-young, Lee Yong-bin, Lee Won-wook, and the Education Policy Design Institute. It was chaired by Gil-Sang Lee, a professor at the Central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Prior to the start of the debate, Gyeongsangnam-do Superintendent of Education Park Jong-hoon mentioned the shortcomings of the superintendent election process and argued that education autonomy by direct superintendent of superintendents should be discussed in a way that complements the current problems as a democratic and efficient system.

 

Kim Seong-cheon, head of the Education Policy Design Research Institute, who gave the presentation, suggested various alternatives to the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citing issues such as the amount of election expenses and the number of invalid votes in the last local elec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18,000 people in education, various ways to solve the problems exposed while maintaining the backbone of the straight system were suggested.

 

In the designation discussion that followed, Hyun-woo Lee, the first president of Incheon Eunhasu School, mentioned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s of lowering the age of superintendent election to 16 years old. Lee Yoon-kyung, president of the National Parents Association for True Education, pointed out that the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is 'blind' and 'indifference'. emphasized that

 

Hwang Yu-jin, director of the Gyeonggi Teachers' Union's Policy Research Bureau, proposes to introduce a public education system fo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strengthen the education experience of the superintendent, to guarantee the right of incumbent teachers to be elected as superintendents and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ittee, and to elect direct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ittee as a way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local education autonomy. did. Jang Seung-jin, a member of the Policy Committee for a World Without Worries about Private Education, comment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 system of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repeat the mistakes of the past, but to fully preserve the constitutional values ​​of local education autonomy of 'democracy, local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education'. claimed.

 

Kim Young-sik, co-representative of the Good Teachers Movement, said that finding a supplementary solution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the direct system of superintendents was the most feasible improvement plan.

 

Park Jin-ha, head of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team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said that the survey results are very meaningful, and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desire of the education actors who want to separate education and politics. She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Rep. Kang Deuk-gu said, “As local autonomy is an important value in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Korea, education autonomy is also essential. should be discussed,” he said.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모집
의왕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 취창업 컨설팅 참여자 모집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