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의왕시, ‘2024년도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엘에스로 --> 의왕기아자동차 앞 --> 노송지대 9km에서 행사 진행
기사입력  2024/10/07 [11:12]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의왕시가 의왕구간에서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 행사를 진행했다.     ©

 

의왕시가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 행사를 의왕구간에서 개최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수원특례시, 화성시 주최, 금천구,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후원으로 개최된 정조대왕능행차는 안양구간 석수체육공원 --> 안양역 --> 엘에스로 5.3km, 의왕구간 엘에스로 --> 의왕기아자동차 앞 --> 노송지대 9km에서 행사가 진행됐다.

 

이번 재현 행사 중 의왕시 구간에는 150여 명의 행렬단이 참여해 당시의 웅장한 행렬을 실감나게 복원했다.

 

▲ 의왕현감으로 분장한 김성제 의왕시장(앉은이 맨 앞)이 정조맞이 행사를 진행했다.     ©

 

정조대왕능행차는 정조대왕의 효심과 애민 정신을 기리며 혜경궁 홍씨와 청연 군주, 청선 군주를 포함한 조선 왕실의 역사적인 인물들이 함께한 능행차를 시민들과 함께 재현하며 역사와 전통문화를 기념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다.

 

정조대왕 능행차는 1795년(을묘년)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현재의 융건릉)을 참배하기 위해 행차한 대규모 행렬로, 조선 왕조 최대 규모의 행사 중 하나였다.

 

정조대왕은 24년의 재위기간 동안 친아버지 장조(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화성 현륭원(지금의 융릉)으로 옮긴 후 11년간 총 13번 원행(園行)을 했다. 그 중에도 정조대왕 즉위 20년 해인 1795년 윤 2월 9일부터 16일까지 8일 간 그의 어머니 헌경왕후(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동갑이었던 아버지 장조의 회갑이기도 했다) 행했던 대규모 행차가 을묘년 화성 행차이며, 이 기록을 자세하게 글과 그림으로 엮어 책으로 남긴 것이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이다.

 

▲ 많은 시민들이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 행사를 관람했다.     ©

 

의왕시는 이번 행사에서 의왕현감(시장 김성제)의 정조맞이, 격쟁, 무예 시연, 사전 공연 등 과거와 현재가 어우러지는 다양한 볼거리를 시민들에게 제공해 의미를 더했다.

 

김성제 의왕시장은 “이번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행사가 많은 시민이 참여해 지역 공동체의 화합을 다지고, 역사와 문화의 소중함을 느끼는 뜻깊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Uiwang City, ‘2024 King Jeongjo’s Royal Procession Joint Reenactment’

 

Event held from LS to Uiwang Kia Motors to Nosongji 9km

 

 

Uiwang City held the King Jeongjo’s Royal Procession Joint Reenactment event in the Uiwang section.

 

Hos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Suwon Special City, and Hwaseong City, and sponsored by Geumcheon-gu, Anyang-si, Gunpo-si, and Uiwang-si, the King Jeongjo Royal Procession was held from Anyang Section Seoksu Sports Park to Anyang Station to LS to 5.3km, and Uiwang Section LS to Uiwang Kia Motors to Nosongji 9km.

 

Among the reenactments, approximately 150 procession members participated in the Uiwang section, realistically restoring the magnificent procession of the time. King Jeongjo's Royal Procession is a meaningful time to commemorate King Jeongjo's filial piety and love for the people, and to reenact the royal procession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Hyegyeonggung Hong and King Cheongyeon and King Cheongseon, with the citizens, and to commemorat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King Jeongjo's Royal Procession is a large-scale procession that King Jeongjo carried out in 1795 (the year of Eulmyo) to visit his father, Crown Prince Sado's tomb, Hyeonryungwon (currently Yungneung), and was one of the largest events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his 24-year reign, King Jeongjo moved the tomb of his biological father, Jangjo (Crown Prince Sado), from Baebongsan in Yangju to Hyeonryungwon in Hwaseong (currently Yungneung), and made a total of 13 visits to the tomb over 11 years. Among them, the large-scale procession held from February 9 to 16, 1795, the 20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o celebrate his mother, Queen Heon-gyeong (Hyegyeonggung Hong), who was also the 60th birthday of his father, Jang-jo, was the Eulmyo Year Hwaseong Procession, and the detailed record of this event, compiled in text and pictures, is the ‘Wonhaeng Eulmyo Jeongni Uigwe (園幸乙卯整理儀軌)’.

 

Uiwang City added meaning to this event by providing citizens with various attractions that blend the past and present, such as the welcoming of Jeongjo by Uiwang County Magistrate (Mayor Kim Seong-je), a fierce battle, a martial arts demonstration, and a pre-performance.

 

Uiwang Mayor Kim Seong-je said, “I hope that this joint reenactment of King Jeongjo’s procession will be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many citizens to participate, strengthen the harmony of the local community, and feel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culture.”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