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28일 개최된 ‘도예전공 대학생의 날’에 학생들이 이천 경기도자미술관을 방문해 주제 ‘투게더_몽테뉴의 고양이’에 가장 잘 어울리는 주제전 2부 ‘타자와 함께: 우정에 대하여’에 전시된 팁 톨렌드의 작품 중 하나인 ‘백색증을 앓고 있는 아프리카청소년’을 관람하고 있다. ©
|
최문환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가 비엔날레를 마치며 “이번 2024경기도자비엔날레가 도자예술을 매개로 지역과 세계, 예술과 사람을 연결하며 소통하고 협력하는 장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도예인, 도민, 지역사회와 함께 협력하고 성장해 나가며 더 많은 이들이 함께하는 도자 문화 행사를 만들어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2024경기도자비엔날레’가 27만8,000여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45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한 경기도자비엔날레는 경기도와 한국도자재단이 개최한 국내 유일 도자예술 부문 비엔날레(격년제 국제미술행사). 이번 비엔날레는 ‘투게더_몽테뉴의 고양이’를 주제로 전 세계 73개국 1,500여 명의 도예작가의 작품 780점을 전시했다.
2024경기도자비엔날레는 현대사회의 사회적 갈등과 불안 속 ‘협력’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탐구하며 경기도자미술관(이천),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여주), 경기도자박물관(광주)을 주 행사장으로 △전시행사 △학술·워크숍 △부대행사 △협력행사 등으로 나뉘어 운영됐다.
이번 비엔날레는 9월 5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0월 20일 폐막까지 45일간 역대 최대인 24만3,000여 명이 메인 행사장을 찾았다. 비엔날레를 감상, 문화를 향유하려는 가족단위 관람객, 예술대학 학생들, 문화예술 전문가 등 자발적인 관람객이 주를 이루며 도자예술을 경험하고 그 가치를 확대했다. 경기도내 문화기관·시설·단체들이 연대해 도자 및 공예 관련 문화콘텐츠를 도민에게 제공하는 ‘찾아가는 비엔날레-느슨한 연대’에 3만5,000여 명이 참여해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간의 문화 격차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번 행사는 주제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전시작가의 워크숍 및 아티스트 토크 등을 함께 진행해 관람 친화적인 전시란 평가와 함께, 전시 측면에서 현대의 복잡한 이슈인 인간소외, 생태계 파괴, 난민, 젠더 이슈 등을 도자라는 매체로 재조명한 수준 높은 전시였다는 호평을 받았다.
▲ 지난 10월 1일 여주 경기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열린 워크숍 ‘특별한 초대’에서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주제전 ‘처녀들’ 출품작가인 세레나 코다가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
|
또한 도예가에 대한 꿈을 키우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제적 교육의 장을 마련, 지난 9월 28일에는 개최된 ‘도예전공 대학생의 날’에 도예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단체관람이 이어지면서 국제 도자예술의 흐름을 접하는 살아 있는 문화 예술 교육의 장이 됐다.
도자체험이란 측면에서는 흙을 직접 만지고 창작할 수 있는 ‘키즈비엔날레’, 청년작가가 운영하는 ‘공예포차’ 등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어린이들이 오감으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어린이부터 학부모까지 호평을 받으며 도자체험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했다.
지역사회와의 협업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역대 비엔날레 최초로 추진된 ‘찾아가는 비엔날레-느슨한 연대’ 행사는 경기도 27개 시군의 문화거점 시설 102곳과 협력해 도민들이 경기도 전역에서 도자예술을 만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경기도가 도자예술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도자문화의 저변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양한 ‘도민 참여형’ 문화행사를 지속한 점도 도민과 도예가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도민이 주체가 되는 ‘당신의 뮤지엄 콘서트’에는 아마추어부터 전문 예술인 53팀, 총 540여 명이 참여해 다양한 공연을 펼쳐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비엔날레 관람객들에게 이색 문화 체험을 제공했다.
▲ 말레이시아의 다원예술그룹 ‘샤먼 티룸’이 경기도자미술관 3층 로비에서 아티스트 토크&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아이에위푸와 켄트 리 두 사람으로 구성된 샤먼티룸의 퍼포먼스는 9월 5일과 7일 두 차례 열렸다. ©
|
설봉문화제, 오곡나루축제, 경기도민 문화의 한마당 등 지역 축제와의 협력행사를 통해 35만 명이 경기도자비엔날레를 경험하며 도자예술과 관광산업의 융합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한국도자재단은 이번 비엔날레의 성과를 발판 삼아 앞으로 더 많은 예술가와 지역사회, 도민들이 함께 협력하고 참여하는 국제적인 행사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도자학술회의’에 참여한 오리올 칼보 베르헤스 국제도자협의회(IAC) 회장은 “2024경기도자비엔날레를 통해 한국도자의 국제적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향후 IAC 총회의 한국 개최 등 우호적 협력관계를 약속했다.
한편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에서 열린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은 관람객의 호평에 힘입어 2025년 2월 2일까지 전시를 연장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Biennale, 278,000 visitors, successfully closes
CEO Moon-hwan Choi, “We have created a venue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at connects the region and the world, art and people” Self-evaluation
CEO Moon-hwan Choi of the Korea Ceramic Foundation said at the end of the biennale, “This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has created a venue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at connects the region and the world, art and people through ceramic art,” and added, “We will continue to cooperate and grow with ceramic artists, resid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do our best to create ceramic culture events that more people can participate in.”
The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has concluded its 45-day journey, recording 278,000 visitors. The Gyeonggi Ceramic Biennale, now in its 12th year, is the only ceramic art biennale in Korea hosted by Gyeonggi Province and the Korea Ceramic Foundation (an international art event held every two years). This year’s biennale exhibited 780 works by 1,500 ceramic artists from 73 countries around the world under the theme of ‘Together_Montaigne’s Cat’.
The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explored the true meaning of ‘cooperation’ amid social conflict and anxiety in modern society, and was held at the Gyeonggi Ceramic Museum (Icheon), Gyeonggi Living Ceramic Museum (Yeoju), and Gyeonggi Ceramic Museum (Gwangju) as the main venues, divided into △exhibition events, △academic and workshops, △side events, and △cooperation events.
This year’s biennale began with the opening ceremony on September 5 and ended on October 20, attracting a record-breaking 243,000 visitors to the main venue over 45 days. The visitors who came to see the Biennale and enjoy the culture were mainly families, art college students, and cultural arts experts, who experienced ceramic art and expanded its value.
Around 35,000 people participated in the ‘Visiting Biennale - Loose Solidarity’, where cultural institutions,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in Gyeonggi Province joined forces to provide ceramic and craft-related cultural content to the residents, greatly contributing to expanding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eliminating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This event was evaluated as a viewer-friendly exhibition by conducting workshops and artist talks by exhibiting artists to easily convey the theme, and it was well-received as a high-quality exhibition that shed new light on complex contemporary issues such as human alienation, ecosystem destruction, refugees, and gender issues through the medium of ceramics. In addition, it provides an international educational venue that provides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to students who dream of becoming ceramic artists.
On September 28, the ‘Ceramics Major University Student Day’ was held, and as group tours by ceramics major students continued, it became a living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venue where they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w of international ceramic art. In terms of ceramic experience, the ‘Kids Biennale’ where children can touch and create with clay and the ‘Craft Pojangmacha’ run by young artists were very popular with families.
In particular, the program where children can feel and experience with their five senses was well-received by children and parents alike, providing new possibilities for ceramics experience education. In order to strengthen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first ever ‘Visiting Biennale-Loose Solidarity’ event was held in cooperation with 102 cultural hub facilities in 27 cities and counties of Gyeonggi Provinc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encounter and experience ceramic art throughout Gyeonggi Provinc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Gyeonggi Province as a center of ceramic art and expanding the base of ceramic culture.
The continued presence of various ‘resident participation’ cultural events was also well-received by residents and ceramic artists. In the ‘Your Museum Concert’ led by residents, 53 teams of amateur and professional artists, a total of 540 people, participated in various performances, providing a unique cultural experience to biennale visitors through fusion with various art genres such as music and dance. Through collaborative events with local festivals such as the Seolbong Cultural Festival, Ogoknaru Festival, and Gyeonggi-do Cultural Festival, 350,000 people experienced the Gyeonggi Ceramic Biennale, great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convergence of ceramic art and the tourism industry.
The Korea Ceramic Foundation plans to use the success of this biennale as a stepping stone to develop it into an international event in which more artists, local communities, and residents of the province can collaborate and participate.
Oriol Calvo Verges,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eramics (IAC), who participated in the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International Ceramic Academic Conference,’ said, “The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was an opportunity to once again confirm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n ceramics,” and promised friendly cooperation such as holding the IAC General Assembly in Korea in the future. Choi Moon-hwan, the CEO of the Korea Ceramic Foundation, said at the end of the biennale, “This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has created a place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y connecting the region and the world, art and people through ceramic art,” and added, “We will continue to cooperate and grow with ceramic artists, resid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do our best to create ceramic culture events that more people can participate in.” Meanwhile, the ‘2024 Gyeonggi Ceramic Biennale International Competition’ held at the Gyeonggi Living Ceramic Art Museum has extended its exhibition until February 2, 2025 due to favorable reviews from visi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