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아름다운 우리 문화유산이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은 왕을 비롯해 백성에 이르기까지 제사를 중요하게 여기고 정성을 다해 봉행했다.
이달 초순 후손의 한 사람으로서 전주이씨 무산군 제향을 봉행하면서 많은 걸 느끼고 우리 민족의 전통과 조상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조선왕조의 전통을 가장 잘 받들고 이어가는 씨족은 두말할 것 없이 전주 이씨일 것이다. 전주 이씨는 조선 왕실의 후예로서 전국 많은 곳에 집성촌을 이루고 오랜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매년 음력 10월은 전주이씨 각 종파별로 선릉에 위치한 조선왕릉 제향 봉행부터 시작해 전국에 흩어져 있는 선조들의 분묘를 찾아뵙고 제향을 집중적으로 지내는 시기이다.
지금 조선왕릉 제향 봉행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머리가 희끗희끗한 70에서 90세 가까운 후손들로 전국 각지에서 모여 시제를 지낸다.
조선왕조 후손 중에서 각 종파별로 음력 10월의 제향 봉행에는 왕손의 예절과 항렬에 따라 예의를 갖추고 선조들이 남긴 왕실의 법도를 이어 받으며 짧은 제향 기간이지만 왕실의 후손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제향의 뜻을 일깨우는 시간을 갖는다.
하지만 요즘 젊은 세대는 역사와 전통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잊혀져가는 전통제향을 후대에 제대로 전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염려가 앞선다. 어떠한 구속도 받기 싫어하는 요즘 젊은이들은 갈수록 제사는 물론 향우회나 동창회 등에도 참여하지 않는 편이다.
▲ 지난 11월 10일 경기도 양주군 울대리에 있는 무산군 묘역에서 제향 봉행을 마치고 무산군파 종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
|
전주이씨 무산군파는 본인이 속한 왕손 집안이다.
무산군은 조선 8대 왕 성종의 12남으로 1490년(성종 21)에 태어나 1525년(중종 20)에 별세했다. 연산군 때에 안동 춘양에 피신해 음요학정의 위기를 모면했다. 문필 문장이 뛰어났으며 36세에 별세한 후 효정(孝貞)이란 시호를 받았다. 슬하에 8남 4녀를 두어 4녀는 명문가에 출가하고 8남 중에서 영안정(永安正)·부안군(扶安君)·영원군(永原君) 3남만이 후손을 두어 5개 파가 현존한다.
제향 기간 중 촌수를 따지면서 옛 법도를 승계하는 항렬 높은 어른들의 훌륭한 품성을 보면서 이런 왕실의 옛 법도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걱정이 들었다.
내 나이 70을 바라보는데 아무리 둘러봐도 60세 이하의 후손들은 보기 힘들다. 언제까지 이런 역사적 전통 제향 봉행이 이어질 수 있을까?
국내 유교 중앙본부 역할을 하며 전통 유교문화를 보존해 온 성균관이 지난해 11월 2일 발표한 ‘전통 제례 보존 및 현대화 권고안’이 젊은 세대들이 우리 민족의 전승을 이어가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최영갑 위원장은 이날 권고안을 발표하며 “제사의 핵심은 사랑과 공경으로 정성을 다함에 있기 때문에 돌아가신 분을 그리워하는 가족이 모여 안부를 묻고 화합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며, “제사상은 간단한 반상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더 올리거나 생일상처럼 차려도 좋다”고 전했다.
▲ 지난 11월 9일 동작동 국립묘지 안에 있는 부안군 묘역에서 부안군 종손들과 종원들이 시제를 지냈다. ©
|
최근 제사에 대한 젊은 세대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가 제사 간소화 방안을 제안한 것은 제사 관습에 대한 20·30세대의 거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위원회가 2023년 10월 30일 만 20세 이상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례 문화 관련 국민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55.9%는 ‘앞으로 제사를 지낼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20·30세대 성인들은 제사를 지내지 않으려는 이유에 대해서 “구태한 제사 관습이 가정불화를 일으키고 가부장적인 분위기를 재생산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제례 문화 조사에서도 ‘제사를 왜 지내지 않으려하냐’는 질문에 “간소화하거나 가족 모임 같은 형태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41.2%)와 “시대의 변화로 더는 제사가 필요하지 않다”(27.8%)가 주된 답변으로 꼽힌 바 있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개인과 종실을 구분, 종실의 제례는 전통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조선 왕실의 제향 봉행은 전통을 따라야 할 것이다.
제향 봉행에 참여한 전국의 집안에서 나이 차에도 불구하고 젊은 나이의 경우에도 항렬이 높으면 깍듯이 아저씨, 대부님 하는 일가친척들을 많이 만났다. 참으로 우리 민족만이 가지는 아름다운 풍속이 아닐 수 없다. 이들과 함께 옛 조상들의 이야기를 나누며 왕손으로서의 자부심을 되새기고, 제례방법과 전통을 제대로 익혀 후손들에 물려주어야 하겠다는 다짐도 다시 할 수 있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olumn] Jeonju Lee Clan Musan-gun Memorial Service
Lee Yeo-chun, publisher of this magazine
Joseon Royal Tombs are beautiful cultural heritages register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Joseon, which adopted Confucianism as its ruling ideology, considered ancestral rites important and performed them with sincerity for everyone from the king to the people.
As one of the descendants, I felt many things while performing the Jeonju Lee Clan Musan-gun Memorial Service early this month and had time to think again about our people’s traditions and ancestors.
The clan that best upholds and carries on the traditions of the Joseon Dynasty is undoubtedly the Jeonju Lee Clan. As descendants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e Jeonju Lee Clan has formed clan villages in many places across the country and has a long history.
Every year, in the 10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each Jeonju Lee Clan branch starts performing ancestral rites at the Joseon Royal Tombs in Seolleung and visits the tombs of their ancestor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to perform ancestral rites intensively.
Most of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Joseon Royal Tombs ancestral rites are gray-haired descendants in their 70s to 90s who gather from all over the country to perform the rites.
Among the descendants of the Joseon Dynasty, each sect performs the ancestral rites in the 10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ccording to the etiquette and lineage of the royal descendants, and while it is a short ancestral rite period, they take time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ancestral rites with pride and self-esteem as descendants of the royal family.
However, since the younger generation these days is not very interested in history and tradition, there is concern about whether the forgotten traditional ancestral rites can be properly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Young people these days, who do not want to be subject to any restrictions, are increasingly not participating in ancestral rites, hometown associations, or class reunions.
The Jeonju Lee Musan-gun branch is the royal descendant family to which I belong.
Musan-gun was the 12th son of King Seongjong, the 8th king of Joseon. He was born in 1490 (21st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and died in 1525 (2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He fled to Chunyang, Andong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and escaped the crisis of the Eumyohakjeong. He was excellent in writing and sentences, and after passing away at the age of 36, he was given the posthumous title of Hyojeong. He had 8 sons and 4 daughters. 4 daughters married into prestigious families, and among the 8 sons, only 3 sons, Yeonganjeong (永安正), Buan-gun (扶安君), and Yeongwon-gun (永原君), had descendants, and 5 branches still exist today.
While observing the excellent character of the elders of the high rank who inherited the old customs while counting the kinship during the ancestral rites, I was worried about how long these old royal customs would last. I am approaching my 70th birthday, but no matter how much I look around, it is hard to find descendants under the age of 60. How long will this historical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continue?
I hope that the ‘Recommendation for Preserva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Ancestral Rites’ announced by Sungkyunkwan, which has served as the central headquarters of Confucianism in Korea and preserved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younger generations to continue the tradition of our people.
Choi Young-gap, the chairman of the Sungkyunkwan Ritual Establishment Committee, announced the recommendation that day, saying, “The core of ancestral rites is to do one’s best with love and respect, so it should be a time for families who miss the deceased to gather, ask after their well-being, and unite,” and “The ancestral rite table can be simply served with more of the person’s favorite food or set up like a birthday table.”
This is interpreted as a measure to reduce the younger generation’s recent resistance to ancestral rites.
The Sungkyunkwan Ritual Establishment Committee’s proposal to simplify ancestral rites is due to the growing resistance of the 20s and 30s generation to ancestral rite customs. In the ‘National Awareness Survey on Ritual Culture’ conducted by the committee on 1,500 adults aged 20 or older on October 30, 2023, 55.9%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do not pl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in the future.’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aid that the reason they do not perform ancestral rites is because “outdated ancestral rite customs cause family discord and reproduce a patriarchal atmosphere.” In the ancestral rite culture survey, when asked ‘Why do you not perform ancestral rites?’, the main answers were “It is better to simplify them or replace them with forms such as family gatherings” (41.2%) and “Ancestral rites are no longer necessary due to changes in the times” (27.8%). The Sungkyunkwan Ritual Establishment Committee differentiated between individuals and the royal family, and stated that ancestral rites for the royal family should follow tradition.
Therefore, the ancestral rit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should follow tradition. In the families across the country who participated in the ancestral rites, I met many relatives who, despite their age difference, were politely addressed as uncle or godfather even when they were young. This is truly a beautiful custom that only our people have. Sharing stories of our ancestors with them, I was able to recall my pride as a descendant of the royal family and reaffirm my commitment to learning the ancestral rites and traditions properly and passing them on to my descend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