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근원/칼럼니스트, 영상학 박사, 대중과 함께 공부하는 사람 ©
|
세계 근현대사에서 가장 빠른 변화를 겪은 곳은 대한민국일 것이다. 고종황제부터 지금까지 100여 년 짧은 시간 동안 한 나라가 겪을 일들이 거의 다 있어났기 때문이다. 왕조의 멸망, 식민지배, 해방, 참혹한 전쟁, 독재, 경제 부흥, 선진국, 세계를 한류로 물들이는 문화적 영향, 군사력도 중국과 러시아는 부풀려져서 우리가 세계 2위라는 말도 있다. 한국의 변화를 따라가는 것이 벅차다는 외국 기자들이 있다.
이렇게 ‘빨리빨리’ 역사를 살아내며 한국인은 다양한 체험에서 얻은 정보를 통합하는 능력이 생겼다. 한국인은 종합적으로 상황을 파악해서 빠르게 처방을 내려 행동으로 옮기는 능력이 뛰어나다. 대충대충 미진한 ‘빨리빨리’ 대처법에 정교함과 세밀함이 더해지면서 선진국으로 도약하며 생긴 힘이다. 빠른 사회적 변화는 빠른 의식의 변화를 동반한다. 너무 빠른 변화는 혼란을 만들어낼 수 있다. 시선이 할아버지의 60대부터 멀리 손주의 60대까지 볼 수 있는 폭넓은 시야를 가져야 혼란을 피할 수 있지 않을까?
할아버지, 아버지, 나, 자식, 손주의 60대
할아버지를 참 싫어했었다. 손녀의 눈에 할아버지가 옛 전통에 머물러 부모님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몇 시간 동안 언쟁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버지는 나와 마치 친구처럼 지내셨다. 그런 아버지가 왜 할아버지와는 뜻이 맞지 않는지 이해가 안 되었다. 아버지가 나를 대하는 방식이 내 친구들의 아버지가 딸을 대하는 엄격한 태도와 많이 다르다는 것을 점차 알게 되었다.
아버지는 어머니와도 권위적이지 않고 친구처럼 지내셨다. 그래서 가족 사이에 권위적이라는 건 상상이 안 되었다. 남녀 공학 대학에 들어가자 학우들을 통해 더 많은 가족 형태를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아버지는 권위적인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나에게는 놀라운 일이었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어머니의 친구들 중 한 분은 필자가 대학에 들어가서 말이 잘 통하자 나를 친구로 생각하겠다는 선언을 하셨다. 그 때 느꼈던 자유로움을 지금도 기억한다. 한국에서 친구의 딸이 성년이 되어 말이 통하면 친구 하자는 말을 들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필자의 아버지와 어머니 친구가 내게 한 ‘친구 선언’은 나를 깊이 생각하게 만들었다. 책을 읽고 영화와 연극 등을 보며 답을 찾아온 것 같다. 주변에서 보는 관습과 이와 다른 의식을 소화해 내려면 시야가 넓지 않으면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혼란으로 정신분열이 되지 않으려면 각각의 경우를 이해해서 스스로 설명이 되어야 했다.
결국 할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각자의 특수성을 인정하면서도 보편적 인간을 모두에게서 만나며 나의 혼란은 질서를 잡아갔다. 역사도 마찬가지 아닐까? 한국의 근현세사 사진을 훑어보며, 우리 할아버지가 어릴 때 살던 모습에서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우리 손주들의 환갑까지 상상해보자.
보편성과 특수성
사실(事實, fact) 그대로를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한국 사진들을 보면 지금과 너무도 다른 모습들을 만난다. 짚신 신고 긴 머리를 땋아 늘인 남자들, 고층건물들이 꽉 찬 서울을 상상하기 힘든 고종 시대의 중심가 사진. 그때부터 10년 단위로 달라지는 한국의 사진을 보면, 각 시대의 특수성이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관통하는 보편성을 느끼게 된다. 시대별로 변화하는 특성의 ‘다름’을 10년 단위로 연속해 보면 ‘다름’에 머물지 않고 한국의 ‘보편성’도 사진에서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 한국은 ‘보편성’을 느끼기에는 너무도 빠르게 사회구조가 바뀌는 중이다. 통계는 사회를 떠받치는 가정의 구조가 놀랄 정도로 급격하게 달라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1인가구가 이미 30%를 넘었고, 우리의 부모세대는 노후를 자식에게 의존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살아왔는데 지금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설상가상으로 자식을 위해 무조건 희생하며 살아온 부모 세대는 성인이 된 자식이 결혼에서부터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지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회가 되었다. 높아진 결혼 기대치를 맞추지 못해 쉽게 결혼하지 못하는 사회가 되었다. 출산율이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사회구조가 밑바탕에서부터 흔들리고 있다.
결국 우리 스스로 만든 문제를 직시하며 IMF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던 만큼 뼈를 깍는 노력을 해낼 수 있을지 여부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외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과 달리 의식의 변화라는 내적인 개혁은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부터, 손주가 할아버지가 될 때까지라는 긴 세월을 보는 넓은 시야를 갖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다. 그래야 시대적 특수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보면서 전략을 짤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성공 여부에 따라 역사가 혼란으로 빠질지, 시대를 극복하며 계속 성장할지 판가름이 날 것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ung Geun-won Column] Is it the chaos of history or the overcoming of the tim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Republic of Korea must have experienced the most rapid changes. This is because in the short 100 years since Emperor Gojong, almost everything that a country can experience has happened. The fall of a dynasty, colonial rule, liberation, a catastrophic war, dictatorship, economic revival, advanced countries, cultural influence that colored the world with the Korean Wave, and even military power, which is inflated by China and Russia, some say that we are second in the world. Some foreign reporters say that it is difficult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Korea.
In this way, Koreans have developed the ability to integ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experiences while living through history ‘quickly, quickly.’ Koreans are excellent at comprehensively grasping situations and quickly prescribing and putting them into action. This is the power that was created as they leaped to become an advanced country by adding sophistication and detail to the ‘quickly, quickly’ coping method that was lacking. Rapid social change is accompanied by rapid changes in consciousness. Too rapid change can create confusion. Wouldn’t it be possible to avoid confusion if we had a wide perspective that could see from my grandfather’s 60s to my grandson’s 60s?
Grandfather, Father, Me, My Child, Grandson’s 60s
I really hated my grandfather. In my granddaughter’s eyes, my grandfather was stuck in old traditions and made things difficult for her parents. Sometimes, my grandfather and my father would argue for hours. My father treated me like a friend. I couldn’t understand why my father and I didn’t get along. I gradually realized that my father’s way of treating me was very different from the strict way my friends’ fathers treated their daughters.
My father was not authoritarian with my mother either, but more like a friend. So I couldn’t imagine authoritarianism in a family. When I entered a coeducational college, I learned about more family types through my classmates. In general, fathers were authoritarian in most cases. It was surprising to me. I couldn’t help but think seriously about why there was such a difference.
One of my mother’s friends declared that she would consider me a friend when I entered college and got along well with her. I still remember the freedom I felt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I have never heard my friend’s daughter say, “Let’s be friends if we can communicate,” when she becomes an adult in Korea. The “friend declaration” that my father and mother’s friend made me think deeply. I think I found the answer by reading books and watching movies and plays. It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customs and rituals that I see around me if I do not have a broad perspective. In order not to become schizophrenic due to confusion, I had to understand each case and explain it to myself.
In the end, I was able to understand my grandfather. While acknowledging each person’s specialness, I met universal human beings in everyone, and my confusion was brought into order. Isn’t history the same? Let’s look through photos of Korea’s recent history and imagine how our grandfather lived from when he was young to now, and even to our grandchildren’s 60th birthday.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When we look at the oldest photos of Korea, which show facts as they are, we encounter scenes that are very different from today. Men wearing straw sandals and long hair braided in braids, a photo of the downtown area of the Gojong era that makes it hard to imagine Seoul filled with high-rise buildings. If you look at photos of Korea that have changed every 10 years since then, you can see the specificity of each era. Nevertheless, you can feel the universality that runs through the era. This is because if you look at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change with each era in 10-year increments, you can find the ‘universality’ of Korea in the photos, not just ‘differences.’
Right now, Korea’s social structure is changing too quickly to feel ‘universality.’ Statistics show that the family structure that supports society is changing surprisingly rapidly.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lready exceeded 30%, and our parents’ generation used to think that they would depend on their children for their old age, but now almost no one thinks that way. To make matters worse, the parents’ generation that unconditionally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ir children has become a society that takes it for granted that their adult children will not be independent from marriage and will depend on their parents. It has become a society where people cannot easily get married because they cannot meet the high expectations for marriage. The birth rate is bound to be low. So the social structure is shaking from the bottom up. Ultimately, our future will be determined by whether we can face the problems we created ourselves and make the same painstaking efforts we successfully overcame the IMF. Unlike bringing about external changes, internal reforms such as changes in consciousness are difficult to succeed without a broad perspective that looks at the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grandfather of the grandfather to the grandson becoming a grandfather. This is because only then can we devise strategies while simultaneously looking at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the times. Depending on whether this is successful or not, it will be determined whether history will fall into chaos or whether we will overcome the times and continue to g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