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경기도 17개 공공기관, 저출생 위기 극복 업무협약 체결
‘0.5&0.75잡’ 도입 새로운 단축근무제 도입 및 확산
기사입력  2024/12/24 [12:04]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경기도의 17개 공공기관이 ‘0.5&0.75잡’ 제도 도입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

 

경기도일자리재단과 경기주택도시공사 등 경기도 산하 17개 공공기관이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과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해 지난 12월 18일 경기도청에서 0.5&0.75잡 제도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경기도의 ‘0.5&0.75잡’ 정책은 경력단절을 우려해 육아, 가족돌봄 등 단축근무가 필요한 사람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으로 주 40시간 기준으로 근무시간을 20시간(0.5잡) 또는 30시간(0.75잡)으로 단축해 다양한 근무 형태를 지원하고 근로자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등 일자리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는 혁신적인 근무제도. ‘0.5&0.75잡’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민선8기 후반기 중점 과제 중 하나다.

 

이번 협약에 따라 협약 참여기관은 △참여자 지원 △맞춤형 컨설팅 △규정개선 △보전금 지원 등 ‘0.5&0.75잡’ 제도 안착과 확대를 위해 공동 협력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들 기관은 늦어도 내년 1월까지는 모두 0.5&0.75잡을 시행하게 된다.

 

이번 협약에는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관광공사, 경기연구원, 경기신용보증재단, 한국도자재단,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아트센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경기복지재단,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킨텍스, 경기도사회적경제원 등 17개 기관이 참여해 상호 협력을 통해 경기도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경기도 일자리경제정책과의 한 관계자는 “0.5&0.75잡 제도를 활성화시켜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근무제도를 경기도가 선도하고 저출생 위기를 극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올해 경기도 공공기관 대상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내년부터 경기가족친화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17 public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sign business agreement to overcome low birth rate crisis

 

Introduction of ‘0.5&0.75 job’,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new shortened work hours system

 

 

On December 18, 17 public institutions under Gyeonggi Province, including the Gyeonggi Job Foundation and Gyeonggi Housing and Urban Corporation, held a business agreement ceremony at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to introduce the 0.5&0.75 job system to spread the work-family balance culture and overcome the low birth rate crisis.

 

Gyeonggi Province’s ‘0.5&0.75 job’ policy is an innovative work system that attempts to change the job paradigm by shortening working hours to 20 hours (0.5 job) or 30 hours (0.75 job) based on a 40-hour week, supporting various work styles and expanding workers’ choices. ‘0.5&0.75 job’ is one of the key tasks of Gyeonggi Province Governor Kim Dong-yeon in the second half of the 8th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is agreement,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will carry out joint cooperation to establish and expand the ‘0.5&0.75 job’ system, including △support for participants, △customized consulting, △regulation improvement, and △conservation fund support. These organizations will all implement the 0.5&0.75 job system by January of next year at the latest.

 

In this agreement, 17 organizations, including Gyeonggi Job Foundation, Gyeonggi Housing and Urban Corporation, Gyeonggi Pyeongtaek Port Authority,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yeonggi Credit Guarantee Foundation, Korea Ceramic Foundation, Gyeonggi Content Promotion Agency, Gyeonggi Arts Center, Gyeonggi Women and Family Foundation, Gyeonggi Agricultural and Fisheries Promotion Agency, Gyeonggi Welfare Foundation, Gyeonggi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Next 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yeonggi Market Promotion Agency, KINTEX, and Gyeonggi Social Economy Institute, participated and promised to cooperate to spread the culture of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mutual cooperation. An official from Gyeonggi Province’s Employment and Economic Policy Division said, “We hope that Gyeonggi Province can lead the way in creating a work system that allows people to balance work and family by activating the 0.5&0.75 job system and overcome the low birth rate crisis,” adding, “We plan to conduct a pilot operation targeting public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this year and expand and promote the project targeting Gyeonggi Province family-friendly companies starting next year.”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