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근원/칼럼니스트, 영상학 박사, 대중과 함께 공부하는 사람 ©
|
‘서울의 봄’을 찍은 김성수 감독이 2024년 연말 감독상을 받으면서 한국의 젊은이들이 위대한 관객이라고 말했다. 로맨스물도 아니고 재미를 추구하는 영화도 아닌데 사회성 짙은 진지한 역사 영화에 젊은이들이 천만을 넘기는 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2024년 12월 24일에 개봉한 또 다른 영화 ‘하얼빈’은 안중근 의사를 다루면서 ‘서울의 봄’ 보다 더 빠른 속도로 천만을 넘길 기세다.
두 영화는 일 년 동안 젊은이들에게 12.3 비상계엄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선험 학습과 같은 역할을 했다. 독재 시대를 살아보지 않은 청년들이 눈이 오는데도 밤을 새워가며 시위를 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앞장서고 있다. 그것도 시위 문화를 한 단계 진화시키면서 축제형 시위로 세계를 놀라게 한다. 의회에서 계엄령을 중지시킨 후 윤석열이 보여준 졸렬하고 찌질하기 짝이 없는 대응은 분노를 일으키며 역설적으로 분열된 한국 사회를 통합하고 있다!
한국사회를 통합시키는 탄핵 시위
다른 나라들도 심각한 사회적인 분열이 있지만, 한국도 세대, 지역, 남녀, 계층, 학력 등의 문제가 통합되기 어려운 문제로 꼽혀왔다. 한국의 시니어들은 젊은이들이 적극적으로 탄핵 시위에 나서는 것을 보고 젊은 세대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던 것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젊은 세대는 나이든 기성세대 덕분에 민주주의를 누릴 수 있고 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을 깨달으며 세대 간 통합이 진행되고 있다.
정치에서 동서 지역은 넘을 수 없는 벽이었다. 윤석열의 비상계엄이 이런 불가능한 일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대구에서조차 차기 대통령감으로 야당의 이재명 대표가 50%가 넘을 정도로 지지받는 여론조사가 가 나온 것이다. 뜬금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할 정도니 정치적 탄압으로 야당대표 하나쯤 날리는 것은 일도 아닐 것이라는 추측 결과 나타난 현상일 것이다.
남녀 갈등 또한 마찬가지다. 그동안 여성은 정치와 같은 거대 담론에 무관심하고, 정치적 행동에 취약하다는 무의식이 한국 사회에 존재해 왔다. 그런데 비상계엄 선포로 촉발된 추운 겨울 계속된 시위에 앞장 선 것은 2,30대 여성들이었다. 여성들이 아이들과 함께 시위에 나서면서 다음 세대에게 민주주의의 중요성도 가르친다. 미래에 여성들이 한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다.
계층, 학력, 직업 등에 무관하게 전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선결재를 하고,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먹을 것, 핫팩 등을 나누며, 밤에 피어난 거대한 응원봉 꽃밭에 춤과 노래로 미학적인 시위를 하고, 몇 시간씩 기다렸다가 발언하는 개인들을 보면 아테네 광장에서 피어난 민주주의를 떠올리게 된다. 시위라면 폭력을 당연시 했던 외국인들이 이런 모습에 무척 놀란 모양이다. 개인주의가 강한 서구에서 이런 일은 상상조차 안되기 때문이다.
지위, 학력, 계층 등으로 구분된 사회적 자아(社會的 自我)라는 사람 사이의 경계가 시위를 통해 풀어지는 공동체 경험은 앞으로 한국 사회를 이끌어갈 강한 저력이 될 것이다. 이번 계엄령을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열과 갈등을 통합하며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기폭제로 만들자. 외국의 석학들이 이번 위기를 지혜롭게 잘 넘기면 한국이 더욱더 튼튼하고 강한 민주주의 국가가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예측이 주는 함의는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에게 제기된 새로운 도전
아놀드 토인비는 ‘도전과 응전’이란 개념으로 역사의 진보를 논했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안락한 삶을 추구하며 의식이 자아(自我)에 머물 수 있었다. 윤석열이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사회 제도가 얼마나 큰 억압과 고통을 줄 수 있는지 한순간에 젊은이들을 각성시키며 새로운 도전을 던져줬다. 이번 사태는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큰 경종을 울렸다.
한류가 문화적인 대세가 될 정도고 경제적으로도 강국이며 민주주의가 튼튼한 한국은 이미 전 세계의 롤 모델이다. 정작 한국인은 이런 사실을 잘 모른다. 1970년, 1980년대 의식에 머물러 있는 윤석열이 비상계엄이란 어처구니없는 짓을 해서 젊은이들에게 사회의식을 일깨웠다. 윤석열이 만들어낸 문제를 젊은이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어떻게 답해야 하는지 몰랐다면 한국사회는 통합보다 사회적 분열과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졌을 것이다. 세계는 아직 위험이 남아있지만, 문제를 잘 해결해내서 한국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한국 사태는 세계 역학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뿐더러 세계의 민주주의 시험대이기 때문이다.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가 3.1운동으로 이어지고. 이승만 독재를 타도한 4.19혁명은 전두환 신군부를 몰아낸 6.10민주항쟁으로 이어져 직선제 개헌을 쟁취해 절차적 민주주의를 완성했다. 그러나 윤석열은 비상계엄 선포로 절차적 민주주의마저 훼손하는 독재의 망령을 다시 불러냈다. 한국은 지금 역사의 진보냐 후퇴냐 갈림길 앞에 서 있다.
국가적 위기이면 발현됐던 우리 민족의 공동체의식이 윤석열이 만든 국가적 위기를 맞아 다시 재현될 것으로 믿는다. 김구 선생님은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가 문화강국이 되길 소원하셨다. 지난해 우리 젊은이들은 영화 ‘서울의 봄’과 ‘하얼빈’으로 민주주의와 역사의식에 대한 학습을 했다.
윤석열의 비상계엄은 아이러니하게도 영화가 영화가 아니라 현실이 될 수 있음을 젊은이들에게 각인시켰다. 젊은이들에게 현실에서 적나라한 민주주의 학습을 시켜 행동하는 민주시민으로 거듭나게 한 윤석열에게 공로패라도 줘야 할까?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g Geun-won's Column] The Irony of History, Yoon Seok-yeol
Director Kim Sung-soo, who directed 'Spring in Seoul', said that Korean youth are a great audience when he received the Best Director Award at the end of 2024. It is not a romance or a movie that pursues fun, but it played a big role in attracting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for a serious historical film with strong social issues. Another film, 'Harbin', which was released on December 24, 2024, deals with Ahn Jung-geun and is expected to attract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at a faster rate than 'Spring in Seoul'.
The two films served as a kind of pre-learning for young people to properly see the 12.3 martial law throughout the year. Young people who have never experienced a dictatorship are protesting all night long in the snow and taking the lead in protecting democracy. They are also surprising the world with festival-style protests while evolving protest culture to the next level. The poor and pathetic response of Yoon Seok-yeol after the National Assembly suspended martial law is causing anger and paradoxically uniting the divided Korean society!
Impeachment protests that unite Korean society
Other countries also have serious social divisions, but in Korea, issues such as generation, region, gender, class, and education level have been cited as difficult problems to unite. Korean seniors feel ashamed for not properly evaluating the younger generation when they see young people actively participating in impeachment protests. The younger generation is realizing that they were able to enjoy democracy and become an advanced country thanks to the older generation, and intergenerational unity is progressing.
In politics, the East and West regions were an insurmountable wall. Yoon Seok-yeol’s martial law made this impossible possible. Even in Daegu, a public opinion poll showed that Lee Jae-myung, the opposition party leader, was supported by over 50% as the next president. This phenomenon is probably the result of speculation that it would not be an easy task to lose one opposition party leader through political oppression, given that martial law was declared out of the blue.
The same goes for the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For a long time, there has been an unconscious belief in Korean society that women are indifferent to grand discourses such as politics and vulnerable to political action. However, it was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took the lead in the protests that continued during the cold winter triggered by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As women protest with their children, they also teach the next generation the importance of democracy. This is why women are predi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Korean politics in the future.
When we see people making prepayments for people they don’t know at all regardless of class, education, or occupation, sharing food and hot packs with strangers, performing aesthetic protests with dance and song in a field of giant cheering stick flowers that bloomed at night, and individuals waiting for hours before speaking, we are reminded of the democracy that blossomed in the squares of Athens. Foreigners who have taken violence for granted in protests seem to be very surprised by this. This is because in the West, where individualism is strong, such a thing is unimaginable.
The community experience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people, called social selves, divided by status, education, and class, are dissolved through protests will become a strong driving force that will lead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Let’s make this martial law a trigger to integrate the various divisions and conflicts in our society and create a new society. Foreign scholars predict that if we wisely overcome this crisis, Korea will become an even stronger and more democratic country. The implications of this prediction are very important.
A new challenge for Koreans
Arnold Toynbee discussed the progress of history with the concept of ‘challenge and response.’ Young Koreans were able to pursue a comfortable life and their consciousness could remain in the self. When Yoon Seok-yeol declared martial law, he instantly awakened the young people to how much oppression and pain the social system can cause, and presented a new challenge. This incident sounded a great alarm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Korea, where the Korean Wave has become a cultural trend, is an economically powerful country, and democracy is strong, is already a role model for the entire world. Koreans are not aware of this fact. In 1970 and 1980, Yoon Seok-yeol, who was stuck in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awakened social consciousness among young people by doing the absurd act of martial law. If young people had not understood the problem that Yoon Seok-yeol created and did not know how to respond, Korean society would have become more divided and conflicted rather than united. Although the world is still in danger, we hope that Korean society will mature further by resolving the problem well. This is because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ill not only have a great impact on the global dynamics structure, but also serve as a testbed for democracy in the world.
Ahn Jung-geun’s ‘Harbin’ uprising led to the March 1st Movement. The April 19 Revolution, which overthrew the dictatorship of Syngman Rhee, led to the June 10th Democratic Uprising, which drove out the new military junta of Chun Doo-hwan, and achieved a direct constitutional amendment, completing procedural democracy. However, Yoon Seok-yeol brought back the specter of dictatorship that undermined even procedural democracy by declaring martial law. Korea is now at a crossroads between historical progress and regression.
I believe that the sense of community that our people displayed during national crises will be recreated in the face of the national crisis created by Yoon Seok-yeol. Mr. Kim Gu wished that the country founded by our people would become a cultural powerhouse. Last year, our young people learned about democrac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movies “Spring in Seoul” and “Harbin.”
Yoon Seok-yeol’s martial law ironically impresses upon young people that movies can become reality, not just movies. Should we give Yoon Seok-yeol a plaque of merit for teaching young people about democracy in real life and turning them into democratic citizens who take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