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피플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우리 안양! 이사람!]④ 김성민 브라더스키퍼 대표
“보육원서 보낸 17년, 선택 받아 아이들 삶 이해 훈련한 시간”
기사입력  2025/03/12 [13:55]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사회가 ‘자립준비청년들이 있다’라는 걸 인식했던 그때 그 시기 가장 행복”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나쁜 부모가 아니라 좋은 어른…모든 사람은 언젠가는 고아 돼

 

▲ 김성민 브라더스키퍼 대표     ©

 

올해 창간 17주년을 맞는 주간현대신문/경기브레이크뉴스의 인물탐방시리즈 “안양을 좀 더 행복한 안양으로, 안양 시민을 좀 더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우리 안양! 이 사람!’”의 네 번째 인물은 김성민 브라더스키퍼 대표다. 김성민 대표는 만 17세 이후 보육원을 떠나 생활해야 하는 ‘자립준비청년’들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 ‘브라더스키퍼’의 설립자이며 자립준비청년이란 말을 법제화 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브라더스키퍼의 노력으로 사회 취약계층에 ‘자립준비청년’을 포함하도록 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자립준비청년은 ‘보육종료 아동’이라고 불렸다.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과도한 활동으로 건강이 나빠져 하남시에서 요양하고 있다가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강연을 위해 모처럼 서울 나들이를 한 김성민 대표를 지난 2월 26일 종로의 ‘OK Times’라는 월간지 사무실에서 만나 그동안 어떻게 살아왔는지, 브라더스키퍼를 설립한 이유 등등에 대해 들어봤다.

 

“가인이 그의 아우 아벨에게 말하고 그들이 들에 있을 때에 가인이 그의 아우 아벨을 쳐죽이니라.(창세기 4장 8절)”

 

“여호와께서 가인에게 이르시되 네 아우 아벨이 어디 있느냐 그가 이르되 내가 알지 못하나이다. 내가 내 아우를 지키는 자니이까?(Am I my brother’s keeper? 창세기 4장 9절)”

 

김성민 대표가 보육원을 퇴소한지 17년이 됐을 때다. 김 대표는 보육원을 돕는 비영리 단체에서 일하는 등 이 기간 동안 오로지 보호 종료된 친구들의 문제 해결을 위해 살았다. 돈이 생기면 보호 종료 아동들을 돕기 위해 거의 다 써서 모아진 돈도 없었다. 큰 회의감이 들기 시작했고, 하나님께 “이제 보육원 아이들을 만나지 않겠다”는 선언을 했다. 실제로 3개월 동안 전혀 만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주일예배 때 가인과 아벨에 관련된 목사님의 설교를 듣다가 큰 충격을 받게 된다.

 

“‘자기가 동생을 죽이고, 어떻게 저런 말을 할 수 있지?’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주변에 아무도 보이지 않았고, 제가 가인의 모습을 하고 하나님께 반문을 하고 있는 현상이 보였습니다. 친구들을 포기하려 한 스스로가 바로 가인임을 깨닫게 됐고, 정말 많이 울며 회개했습니다.

 

이 일을 통해 가인이 반문하는 단어로 썼던 브라더스키퍼를 저는 응답하는 단어로 사용해 형제와 자매를 지키고,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살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 사건은 하나님께서 저에게 주신 사명을 회복하고, 세워가는 시간이었습니다.”

 

김성민 대표는 2018년 다른 자립준비청년 두 명과 함께 사회적 기업 브라더스키퍼를 설립한다.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받는 여러 경로가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방식은 사회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것이다. 자립준비청년 10명이 현재 브라더스키퍼에서 일하고 있다. 브라더스키퍼는 3년간의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기간을 거쳐 2021년 정식으로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았다. 현대중공업, 포스코 등 대기업과 협업해 30곳의 소규모 공동생활가정과 보육원에서 식물 교육을 한다. 요리 교실, 심리 상담, 명절 모임도 열어 주기적으로 보육원 아동을 돕고 있다.

 

목적 없이 태어나다

 

“저는 이름 없이 태어났습니다.

언제 어디서 그리고 왜 태어났는지도 모릅니다.

1985년 6월 2일이 제 생일이지만 추정일 뿐입니다.

왜 이날이 제 생일이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고아인 저는 목적과 이유 없이 태어났습니다.

가족이 없었던 것처럼 살아갈 이유와 목적도 없었습니다.

저의 삶에서 가장 두려웠던 것은 버려졌다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 목적과 이유를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부모를 통해 자신의 존재와 가치를 증명하지만

저는 증명할 수 있는 가족이 없었습니다.

제가 가장 힘들었던 것은 저의 존재의 목적과 이유를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는 것입니다.

부모가 없는 삶은 참을 수 있지만,

목적 없는 삶은 참을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러웠습니다.

고아가 불쌍한 것은 부모가 없어서가 아니라 태어난 목적과 이유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바뀌었지만 초기의 브라더스키퍼의 김성민 CEO의 인사말이다.

 

▲ 김성민 대표가 직접 시공한 벽면녹화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

 

1년에 약 2,500 명의 자립준비청년이 보육원에서 나와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있다. 브라더스키퍼가 하는 일은 이들을 돕는 일이지만 명확히 한계도 존재한다.

 

“우리가 2,500명을 다 고용할 순 없어요. 어떻게 하면 자립준비청년들에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까 생각해 봤더니 결국 법과 제도가 바뀌어야겠더라고요. 그래서 우리가 2019년도부터 작년까지 법을 바꾸는 일을 했어요. 고용노동부에서 2개의 법을 바꾸고 보건복지부에서 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해 20개의 지원 제도를 만들기도 했어요.”

 

브라더스키퍼는 고용노동부가 정한 취약계층에 ‘자립준비청년’을 포함시키도록 법을 개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취약계층은 사회적 기업에서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되거든요. 자립준비청년이 완전 제도권 밖에 있었는데 우리가 이 문제를 드러내서 제도권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역할을 한 거죠. 자립준비청년이 고용노동부가 정한 제도권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나이대가 처음 등록되었을 때 25살이었는데 이걸 34살까지로 변경했어요. 그럼 34살까지 취약계층으로 인정이 되니까 사회적 기업에서 의무적으로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거든요.

 

브라더스키퍼 단일 기업으로는 한계가 있지만 오히려 이런 제도를 통해서 더 많은 회사에서 자립준비청년들을 고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 거죠.”

 

김성민 대표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 ‘브라더스키퍼’의 상품은 벽면녹화 사업, 즉 조경이다. 브라더스키퍼가 조경을 사업 아이템으로 채택하게 된 과정도 흥미롭다.

 

“자립준비청년을 도우려면 아무래도 사회복지 관련 지식이 있어야겠더군요. 대학에서 사회복지선교학을 공부하면서 새로운 일자리도 찾았어요. 보육원에서 영어 캠프를 여는 비영리단체에 근무하게 됐죠. 막 보육원을 나온 자립준비청년을 만나러 다녔습니다. 기업들을 찾아다니며 일자리를 구해 그들과 연결해주는 일도 했어요.”

 

100명 넘는 자립준비청년에게 일자리를 연결해줬는데 관리가 쉽지 않았다.

 

“가장 오래 근무한 친구의 근속 기간이 3개월이었어요. 무턱대고 일자리를 주니 몇 개월 하다 힘들어 그만두는 경우가 부지기수였죠. 자립준비청년들은 회복 탄력성이 부족해요. 심리적으로 누군가에게 온전한 사랑을 받아본 경험이 적죠. 유년기에 부정적인 경험만 겪던 아이들에게 일자리만 주면 해결될 거로 생각한 게 오산이었어요.”

 

어떻게 하면 자립준비청년이 안정적으로 회사에 다니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 무렵, 한 기업에서 6개월간 착실하게 일하고 있는 청년을 만났다. 김 대표가 소개해준 조경 회사에서 일하던 친구였다.

 

“회사에 잘 적응한 비결이 궁금해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눴어요. 조경회사에서 식물을 가꾸며 마음이 편안해졌다고 하더군요.”

 

김 대표는 식물과 정서의 연관성에 관련된 논문을 모조리 찾아 읽었다.

 

“식물을 키우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서적 회복력이 10배나 높다더군요. ‘자립준비청년’들도 식물을 가꾸는 일자리와 연결해준다면 근속 기간이 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김성민 대표는 자립준비청년에게 일자리를 제공해준 조경 기업 ‘창조원’에 일자리 관련 문의를 했다.

 

“창조원 대표님께 의외의 답변을 들었습니다. 벽면녹화사업 관련 기술을 무상으로 이전해줄 테니 사업을 해보라고 제안을 하더군요. 사업을 키워 인력 채용도 자유롭게 할 수 있지 않겠냐면서요.”

 

좋은 기회였다. 시장 조사를 거쳐 사업화를 결심했다.

 

“이 사업이 자립준비청년에게 좋은 근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 검토했어요. 벽면녹화사업은 식물에 자동으로 급수가 되도록 벽면에 관개수로를 깔고 식물을 심는 일입니다. 보육원 출신 아이들은 대다수가 공고, 농고 출신이에요. 기술이나 식물에 관련된 지식을 남들보다 빠르게 이해할 수 있죠.”

 

고령화되고 있는 조경 시장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기도 했다. 2018년 초, 살던 집의 전세금을 빼 5,000만원으로 브라더스키퍼를 설립했다.

 

“보육원에서 갓 퇴소한 친구 2명과 함께 시작했어요. 벽면녹화사업, 화분 임대, 실내 식물 인테리어 사업을 주로 합니다. 제가 사업 아이템을 알리러 다니고, 직원들은 벽면에 식물을 심고 주기적으로 사업장을 방문해 식물을 돌보죠.”

 

보유한 기술력이 뒷받침됐다.

 

“수직 벽면에 식물을 심고, 물탱크에 물만 넣어두면 자동으로 급수가 되는 기술이 핵심인데, 이걸 보유한 기업이 많지 않아요. 첫해부터 2억원의 수익이 났습니다. 수익금의 100%를 자립준비청년 지원 사업, 보육원 후원, 교육 사업, 심리 치료 캠프 운영 등에 사용했죠.”

 

마침 코로나 사태, 미세먼지 등의 사회 문제화로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맞물렸다. 벽면녹화사업을 중심으로 관공서나 기업으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은 하지만 포름알데히드나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걸러내지 못해요.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를 걸러낼 수 있는 녹화 식물이 주목 받게 됐습니다. 대표적으로 서울시청, 서울식물원, 인천국제공항, 안양시청의 벽면녹화사업을 담당했습니다. 현재 30곳이 넘는 기업의 조경 시설을 관리하고 있죠. 덕분에 직원도 10명까지 빠르게 늘릴 수 있었습니다.”

 

▲ 김성민 대표(정면)가 2022년 자립준비청년 자립캠프에서 자립교육을 하고 있다.     ©

 

브라더스키퍼는 처음엔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디딤돌 목적으로 조경 사업을 시작했지만 LG소셜캠퍼스에 선정되면서 환경문제에 ‘진심’인 기업이 됐다. LG소셜펠로우를 통해 벽면녹화사업의 기술을 개선했다.

 

“이전에는 벽면의 급수시설을 통과한 물은 바로 폐수로 버려졌어요. 재활용이 불가능했죠. LG소셜캠퍼스를 통해 물 순환 기술 개발에 대한 비용과 컨설팅을 지원받았습니다. 벽면 안에서 물을 재순환시켜 물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이죠. 덕분에 2020년부터 브라더스키퍼가 설치하는 모든 벽면녹화구조물에는 버려지는 물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들어 있습니다.”

 

코로나 19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갓 탄생한 브라더스키퍼에 기회를 주기도 했지만 코로나 19 때문에 브라더스키퍼는 존폐의 위기를 겪기도 한다.

 

“우리는 대기업하고 사업을 많이 하는데 코로나 19로 대기업 미팅이 다 취소된 거예요. 외부인이 들어오는 걸 막고, 아예 출입 자체를 못하게 했잖아요. 미팅이 안 되니까 사업이 연결이 안 되고 사업이 연결이 되지 않으니까 재정적으로 굉장히 어려워졌어요. 거기다가 윤석열 정부로 정권이 바뀌어서 환경 이슈가 완전히 사라지면서 일감이 줄어들어 조경업계도 10개 중에 7개가 문을 닫고 있어요.”

 

경제적으로도 어려웠고 정서적으로도 많이 어려운 시기였다.

 

“우리는 ‘버티자. 버티다 보면 남아 있는 회사에 일거리가 몰릴 거다’라고 생각하고 그 기회를 바라보고 버티고 있지요. 이런 어려움은 사실 브라더스키퍼만 느끼는 어려움은 아닌 것 같아요.”

 

김성민 대표에게 어려움은 사업상의 어려움이 아니라 따로 있다.

 

“코로나 19 시기에 자립준비청년들이 삶을 포기한다는 소식이 평소보다 거의 뭐 수십 배 이상 많아졌어요. 우리는 자립준비청년들 문제를 해결하는 회사잖아요. 그런 소식을 들으면 우리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그런 안타까움들이 심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가져다 줬죠.”

 

그런 심적 부담들이 김성민 대표의 몸과 마음을 약하게 만들었다. 심적으로는 우울증을 가져다 주고 몸에는 심장 이상을 가져왔다.

 

“그동안 혼자만 끙끙 알아 왔는데 제가 앓고 있는 그런 질병들에 대해서도 이제는 오픈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브라더스키퍼는 조경사업 외에도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해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이제 자립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이 있거든요. 예를 들어서 아이들이 사회에 나오면 사기 사건이나 범죄에 많이 휘말리잖아요. 그런 걸 방지하기 위해서 법률 교육 또 법률 서비스도 해주고 있어요. 금융 교육도 필요하죠. 아이들이 돈을 벌면 이걸 어떻게 활용해야 되는지 모르잖아요. 또 아이들은 시설에서 급식을 주로 했잖아요. 주방에 들어가 본 적이 없어요. 반찬을 만들거나 밥을 해 먹을 수 있는 경험이 없어요. 요리교육도 필요해요.”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브라더스키퍼가 가장 역점을 두는 활동은 자립준비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법안을 만들고, 이들의 권익과 인권을 대변하는 역할이다.

 

▲ 자립준비청년들의 명절모임에서 김성민 대표(오른쪽 서있는 사람)가 함께 만두만들기를 하고 있다.     ©

 

김성민 대표는 개인적인 스트레스를 관리한다거나 쉬어야 되는데 쉬지 못하는 상황들이 어렵지 사회적인 인식을 바꾸거나 회사 경영과 관련된 일들은 어렵지 않다고 말한다.

 

“사회를 바꿔내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건 저에게는 어려움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런 건 도전하고 시도해야 되는 거지요. 인식을 바꿔야 하면 그 인식이 바뀔 때까지 노력하면 되잖아요. 법을 바꿔야 되면 관련된 기관을 만나거나 혹은 관련된 사람을 만나서 그 법을 또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얻으면 될 테고요.”

 

김성민 대표의 소망 중 하나는 ‘자립준비청년들이 월요병을 걱정하는 일상’이다.

 

“저는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고 생각하거든요. 월요병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직장인이지요. ‘우리 아이들이 직장이 생겨서 월요병을 걱정하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 생각해요. 우리 아이들은 직장을 잡더라도 거의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일반 회사는 더 뛰어나고 더 똑똑한 인재를 뽑을 수밖에 없어요. 일반 친구들과 우리 아이들은 경쟁이 되지 않아요. 서류에서 다 떨어져 버리는 상황이니까요. 그러다 보니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저희가 직접 고용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을 만들었지요. ‘친구들이 어떻게 하면 직장을 가질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게 아니라 직장이 있어서 월요일에 출근하는 걸 고민하는 그런 일상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2개 법 바꾸고 보건복지부 법 제·개정해 20개 지원 제도 만들어

 

김성민 대표는 ‘국민 희망 대표 20인’에 선정돼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연단에 오르기도 했다.

 

“선정된 것도 몰랐어요. 그냥 신문 기사를 통해서 알았고요. 기사가 먼저 나오고 이후에 ‘국민희망 대표 20인에 선정됐으니 취임식에 오라’고 연락이 왔어요. 대통령과 함께 단상에 올라갔고 좌석은 맨 앞자리였어요. 거기 와 있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봤더니 그 시기에 사회적으로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사람들이더라고요.”

 

김성민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 시절인 2022년 1월 14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김 대표는 수상소감에서 “보호종료 청년들에게 위로가 되고 용기가 되고 희망이 되고 싶다”고 밝히며, “보육원에서 17년을 생활하고, 보호시설종료 청년으로 살게 된 지 17년이 된, 올해를 새롭게 시작하는 해라고 생각하고 받은 사랑을 나눠주며 살겠다”고 말해 우리 사회에 큰 감동을 선사했다.

 

“문재인 대통령 시기에도 정부와 같이 일을 했어요. 이번 정부에서도 대통령 직속 ‘자립준비청년과 함께’라는 위원회에서 자립준비청년들의 목소리를 계속 내고 있는 중이죠.”

 

김성민 대표에게 가장 기뻤던 날과 힘들었던 날에 대해서 들어봤다.

 

“사실 저는 보육원 퇴소하고 나서 6개월 정도 노숙 생활을 했거든요. 그 시기가 인생에서 제일 힘들었어요. 보육원에서의 삶도 너무 고통스럽고 힘들었지만 보육원을 퇴소하고 나서 6개월 동안 그 노숙자 생활했던 시기가 정말 힘들었거든요.

 

그때 느꼈죠. 저는 선배들이 교도소에 들어가고 누나들이 성매매를 하고 하는 게 그분들이 못나서 그런 줄 알았어요. 그런데 제가 사회에 나와 보니까 그건 그분들이 못 나서가 아니라 그냥 우리들에게 주어진 삶이더라고요. 그걸 너무 뼈저리게 느끼고 ‘누군가는 이 문제를 해결해야 되는데 만약에 이 문제를 해결할 사람이 필요하다면 그게 나였으면 좋겠다’ 생각했어요.

 

너무 감사하게도 관련된 일들을 계속할 수 있었고 브라더스키퍼라는 사회적 기업을 2018년도에 만들면서 본격적으로 자립준비청년 관련된 목소리를 낼 수 있었죠.

 

그 결과 사회가 ‘자립준비청년들이 있다’라는 걸 인식했던 그때 그 시기, 그리고 그걸 통해서 많은 법안들이 바뀌었던 그 시기가 저한테는 제일 행복했던 순간이었던 것 같아요. ‘누군가는 이 문제를 해결해야 되는데 그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나였으면 좋겠다. 내가 쓰임 받았으면 좋겠다’ 했잖아요. 그런 쓰임 받고 있는 현장에 있는 저를 발견했을 때 제일 행복했죠.”

 

김성민 대표는 자립준비청년문제를 해결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2018년도에 김정숙 여사님이 사회 취약계층을 청와대로 초청해 주셨어요. 탈북자, 한부모 가정도 있고 그중에 한 파트가 ‘자립준비청년’인데 당시에는 보호종료 아동이라고 불렸어요. 김정숙 여사가 저를 초청해 주시면서 ‘보호 종료 아동 관련된 전문가를 찾았더니 김성민 대표님을 여러분이 추천하더라’ 하셨어요. 그때 처음으로 저희가 자립준비청년들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법안을 제안했어요.

 

그때 우리 사회가 ‘자립준비청년이 있다’는 걸 처음 인식했죠. 청와대에서 관심을 가지니까 언론이 관심을 가지더라고요. 언론이 관심을 가지니 기업이 관심을 가지고요. 핑퐁 현상이 일어나면서 이때부터 사회가 더 많이 알기 시작했어요. 그때 그 시기가 제 삶에 있어서 가장 행복했던 시기였죠. 저는 이 역사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거든요.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도 인터뷰 전에 제가 자립준비청년 관련된 강의를 하고 왔잖아요. 이렇게 사람들이 자립준비청년들을 기억하고 그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알길 원하고 또 그런 자리에 제가 계속 쓰임 받을 때가 제게는 큰 기쁨을 누리는 순간들인 것 같아요.”

 

기쁠 때가 있으면 슬플 때도 있을 것.

 

“슬픈 시간도 저한테는 꽤 많은데 자립준비청년들이 삶을 포기했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굉장히 슬프죠. ‘내가 더 열심히 했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텐데. 아이들이 그런 선택을 하지 않았을 텐데’라는 생각을 계속하게 되면서 슬픔을 느끼게 되죠.

 

하지만 슬픔으로만 남지 않고 어쩌면 오히려 그런 소식들 때문에 제가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더 다양하고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힘을 얻기도 하죠.”

 

김성민 대표는 자립준비청년들이 보육원을 나왔을 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만이 할 수 있는 대답을 했다. 그것은 뜻밖에도 경제적인 게 아니었다.

 

“우리 모든 아이들의 얼굴 모양이 다르고 이름이 다르듯이 아이들의 필요는 다 달라요. 다만 한 가지 동일한 건 있어요. 모든 아이들이 동일하게 없는 게 바로 ‘부모’예요. 경제적인 게 아니라 부모의 부재로 인한 정서적인 문제가 사실 저는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해요. 정서적인 문제가 해결되면 경제적인 문제는 얼마든지 스스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회에서 해줄 수 있는 건 이런 정서적인 문제가 아니라 경제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저희가 많은 법안을 만들어서 지원 제도를 만들었잖아요.

 

이것보다 저는 더 중요한 게 정서적인 문제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우리 아이들에게 없는 부모를 찾아줄 수는 없잖아요. 부모로부터 격리된 아이들을 다시 나쁜 부모에게 연결해 줄 수는 없어요.

 

그래서 저는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나쁜 부모가 아니라 좋은 어른이라고 이야기해요. 이 사회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멘토의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좋은 어른을 연결해 주는 게 필요하다 생각해서 저희가 경기도에 제안해서 경기도는 매년 천 명의 멘토를 만들고 있어요.”

 

▲ 김성민 대표가 조경 작업을 하고 있다.     ©

 

브라더스키퍼는 안양시에 있는 기업이라 안양시에 대한 바람이 무엇인지도 궁금했다.

 

“저희 브라더스키퍼는 안양에서 시작했습니다. 안양에서 시작된 브라더스키퍼가 이 사회에 자립준비청년이라는 이슈를 던지게 됐죠.

 

그런데 등잔 밑이 어둡다고 사실 자립준비청년에게 제일 관심이 없는 지자체가 안양시예요. 너무 안타깝죠. 그래서 저희가 올해 우리 김도현 안양시의원님과 자립준비청년 관련조례들을 계속 제정하고 있어요. 다른 시도에서는 저를 초청해서 오히려 조례를 만들었는데 안양시는 전혀 준비가 안 돼 있었어요.

 

안양이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관심이 훨씬 부족했습니다. 자립준비청년과 관련된 안양시의 조례 수준이 다른 시도보다 월등하게 높아야 된다고 얘기하진 않아요. 아이들을 우선 고용한다거나 혹은 아이들에 대한 지원 제도를 만든다거나 다른 시도의 수준까지는 돼야하지 않냐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김성민 대표에게 우리 사회에 대한 바람을 들어봤다.

 

“모든 사람이 언젠가는 경험하는 게 있어요. 바로 죽음이잖아요. 네 맞죠? 죽음은 누구도 피할 수 없어요. 근데 이와 동일한 게 한 가지가 더 있거든요. 모든 사람이 죽음을 피할 수 없듯이 언젠가는 모든 사람은 고아가 됩니다. 맞죠? 우리 아이들은요. 나쁜 경험 잘못된 경험 다른 경험을 한 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언젠가는 경험해야 될 그 경험을 먼저 했을 뿐인 거예요.

 

그래서 제가 아이들 만날 때마다 이런 이야기를 해요. ‘사람들이 너를 편견의 눈으로 바라보더라도 너는 그 사람을 위로하는 눈으로 바라봐 줬으면 좋겠어. 왜냐하면 네가 지나온 시간을 앞으로 살아갈 사람들이야. 너의 지나온 시간은 많은 사람들을 그리고 이 세상을 위로할 수 있을 거야’라고 하거든요.

 

사람들이 우리 아이들의 부모님이 계시지 않다는 이유로 편견으로 대하거나 그들을 놀린다거나 왕따를 한다거나 그건 정말 잘못된 행동이잖아요. 왜냐하면 본인도 결국 언젠가는 고아가 되거든요. 우리 아이들은 먼저 그 경험을 했을 뿐이라는 거예요.

 

저는 그 이야기를 꼭 사회에 해 주고 싶어요. 그런 의미에서 우리 아이들은 다른 사람도 아니고요, 잘못된 것도 아니고요, 나쁜 경험을 한 것도 아니라는 거죠.

 

그 걸 사람들이 인식하게 되면 우리 아이들에 대한 시각이나 인식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김성민 대표가 이렇게 성숙된 사고를 할 수 있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100% 저의 신앙 안에서 나온 마음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만약에 하나님을 만나지 않았다면 저는 여전히 고아로 살아가고 있었을 겁니다. 인간적인 눈으로 봤을 때는 제가 부모님을 지금까지 한 번도 뵌 적이 없고, 누군지도 모르지만 부모님께서 저를 버리셨거나 잃어버리셔서 제가 저의 삶을 비관하거나 혹은 이 세상 사람이 아닐 수도 있었겠죠.

 

하지만 하나님의 시각으로 바라봤을 때 저는 선택됐다고 생각하거든요.

 

제 삶은 하나님께 선택되어져서 제가 보육원에서 지냈던 그 17년의 시간은 저와 같은 환경에 있는 아이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훈련받은 시간이지 버려진 시간이 아니라는 거예요. 그런 의미에서 저는 저의 지나온 시간들이 제가 지금 가지고 있는 어떤 타이틀보다 제일 감사한 타이틀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ur Anyang! This Person!]④ Kim Seong-min, CEO of Brothers Keeper

 

“17 years spent at a daycare center, a time chosen to train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lives”

 

“The happiest time when society recognized that ‘there are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hat children need is not bad parents, but good adults… Everyone becomes an orphan someday

 

The fourth person in the Weekly Hyundai Newspaper/Gyeonggi Break News’ character exploration series “Our Anyang! This Person!” who makes Anyang a happier Anyang and Anyang citizens a happier person” is Kim Seong-min, CEO of Brothers Keeper. CEO Kim Seong-min is the founder of the social enterprise ‘Brothers Keeper’ that supports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ho must leave orphanages after turning 17, and is also the person who legislated the term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Before the law was revised to include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the socially vulnerable class through Brothers Keeper’s efforts,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were called ‘children who have finished childcare.’ On February 26, we met with CEO Kim Seong-min, who had been recovering from excessive activities for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Hanam City and had come to Seoul for the first time to give a lecture for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at the office of the monthly magazine ‘OK Times’ in Jongno. We heard about his life and the reason for establishing Brothers Keeper.

 

 

“Cain spoke to Abel his brother, and while they were in the field, Cain attacked Abel his brother and killed him (Genesis 4:8)”

 

“Then the Lord said to Cain, ‘Where is Abel your brother?’ And he said, ‘I do not know. Am I my brother’s keeper? (Genesis 4:9)”

 

It had been 17 years since CEO Kim Seong-min left the orphanage. During this time, CEO Kim worked at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elped orphanages, and lived solely to solve the problems of friends who had left their protection. When he had money, he spent almost all of it on helping children who had left their protection, so he had no money left. He began to feel a great sense of doubt, and declared to God, “I will not see the children from the orphanage anymore.” In fact, he did not see them at all for three months. Then one day, during Sunday service, he was deeply shocked when he heard the pastor’s sermon about Cain and Abel.

 

“The moment I thought, ‘How could someone kill their own brother and say such things?’, I saw no one around me, and I saw myself as Cain and questioning God. I realized that I was Cain, who had tried to give up on my friends, and I cried and repented a lot. Through this work, I used the word Brothers Keeper, which Cain used as a questioning word, as a response word, and pledged to live my life protecting my brothers and sisters and giving glory to God. That incident was a time to restore and establish the mission that God had given me.”

 

In 2018, CEO Kim Seong-min founded the social enterprise Brothers Keeper with two othe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ere are several ways to be certified as a social enterprise, and one of them is to hire the socially vulnerable. Ten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are currently working at Brothers Keeper. Brothers Keeper was officially certified as a social enterprise in 2021 after a three-year preparatory social enterprise designation period. It collaborates with large corporations such as Hyundai Heavy Industries and POSCO to provide plant education at 30 small group homes and daycare centers. It also holds cooking classe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holiday gatherings to help children in daycare centers on a regular basis.

 

Born without a purpose

 

“I was born without a name.

I don’t even know when, where, or why I was born. June 2, 1985 is my birthday, but it is only an estimate.

I don’t even know why this day became my birthday.

As an orphan, I was born without purpose or reason.

I had no reason or purpose to live, just as I had no family.

The thing I was most afraid of in my life was not being abandoned,

but not knowing the purpose or reason for being born.

I prove my existence and value through my parents,

but I had no family to prove it to.

The hardest thing for me was that I had nothing to prove the purpose or reason for my existence.

A life without parents is bearable,

but a life without purpose is unbearably painful.

Orphans are pitiful not because they don’t have parents, but because they don’t know the purpose or reason for being born.”

 

This is the greeting from Kim Seong-min, the CEO of Brothers Keeper, which has changed now.

 

About 2,500 young people who are ready to become independent leave orphanages and start their social lives every year. Brothers Keeper’s job is to help them, but there are clear limitations.

 

“We can’t hire all 2,500 people. We thought about how we could support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to live better lives, and in the end, we thought that laws and systems had to change. That’s why we worked on changing laws from 2019 to last year.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hanged two laws,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acted or revised laws to create 20 support systems.”

 

Brothers Keeper played a crucial role in revising the law to include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the vulnerable groups defin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vulnerable groups must be hired by social enterprises.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ere completely outside the system, but we played a role in bringing this issue into the system by revealing it. When the age limit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as first register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enter the system, it was 25, but we changed it to 34. Then, since they are recognized as a vulnerable group up to 34, social enterprises have the opportunity to hire them mandatorily.

 

“Brothers Keeper has limitations as a single company, but through this system, we have created opportunities for more companies to hire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e product of the social enterprise ‘Brothers Keeper’ founded by CEO Kim Seong-min is a wall greening project, or landscaping. The process by which Brothers Keeper adopted landscaping as a business item is also interesting.

 

“In order to help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I thought I needed to have knowledge related to social welfare. While studying social welfare missionary studies in college, I also found a new job. I started working at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opened an English camp at a daycare center. I went around meeting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ho had just left the daycare center. I also visited companies to find jobs and connected them with them.”

 

I connected more than 100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ith jobs, but managing them was not easy.

 

“The longest-serving friend had only been working for 3 months. When I gave them jobs without thinking, there were countless cases where they quit after a few months because they had a hard time.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lack resilience. Psychologically, I have little experience receiving complete love from someone. I thought that if I just gave jobs to children who had only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childhood, things would be resolved. That was a mistake.”

 

While I was wondering how to make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ork steadily at a company, I met a young man who had been working steadily for 6 months at a company. He was a friend who worked at a landscaping company that CEO Kim had introduced.

 

“I was curious about the secret to his adaptation to the company, so I met him in person and talked to him. He said that he felt at ease while growing plants at the landscaping company.”

 

CEO Kim searched for and read all the paper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plants and emotions.

 

“They say that people who grow plants have 10 times more emotional resilience than those who don’t. I thought, ‘If we connect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ith jobs that involve growing plants, wouldn’t their employment periods increase?’”

 

CEO Kim Seong-min inquired about jobs at ‘Changjowon,’ a landscaping company that provided jobs to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I received an unexpected answer from the CEO of the Creation Center. He suggested that I start a business by offering to transfer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wall greening project for free. He said that if I grow the business, I can hire people freely.”

 

It was a good opportunity. After conducting market research, I decided to commercialize it.

 

“I reviewed whether this business could provide a good working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e wall greening project involves laying irrigation channels on the wall so that the plants can be watered automatically and planting plants. Most of the children from the orphanage are graduates of technical or agricultural high schools. They can understand technology and knowledge related to plants faster than others.”

 

It was also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ging landscaping market. In early 2018, I established Brothers Keeper with 50 million won, deducting the deposit from my previous home.

 

“I started it with two friends who had just graduated from a daycare center. I mainly do wall greening, flower pot rental, and indoor plant interior design. I go around promoting business items, and my employees plant plants on the walls and visit the business site periodically to take care of the plants.”

 

The technology I possessed was backed up.

 

“The key is the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supplies water by planting plants on vertical walls and putting water in a water tank, but not many companies have this. I made 200 million won in profit from the first year. I used 100% of the profit for support projects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sponsoring daycare centers, education projects, and operating psychological treatment camps.”

 

At the same time, interest in air quality was increasing due to social issues such as the COVID-19 situation and fine dust. I received positive responses from government offices and companies, focusing on the wall greening project.

 

“Air purifiers filter out fine dust, but they cannot filter ou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or toluene. As people spend more time indoors, green plants that can filter out these substances have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For example, I was in charge of the green wall projects for Seoul City Hall, Seoul Botanical Garde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Anyang City Hall. I currently manage the landscaping facilities for over 30 companies. Thanks to this, I was able to quickly increase my staff to 10.”

 

Brothers Keeper initially started the landscaping project as a stepping stone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but after being selected for the LG Social Campus, it became a company that was ‘serious’ about environmental issues. It improved the technology of the green wall project through the LG Social Fellow.

 

“Previously, 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facility on the wall was immediately discharged as wastewater. Recycling was impossible. Through the LG Social Campus, we receiv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water circulation technology and consulting. This is a technology that recirculates water inside the wall to reduce water usage. Thanks to this, all the wall green structures installed by Brothers Keeper since 2020 have technology to minimize water waste.”

 

COVID-19 has given Brothers Keeper, which was just starting out, an opportunity by rais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but it is also facing a crisis of existence due to COVID-19.

 

“We do a lot of business with large corporations, but all of our meetings with large corporations have been canceled due to COVID-19. They prevented outsiders from coming in and even prevented us from entering. Since we couldn’t have meetings, our business couldn’t connect, and since our business couldn’t connect, it has become very difficult financially. On top of that, since the government changed to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issues completely disappeared, work has decreased, and 7 out of 10 landscaping businesses have closed.”

 

It was a difficult time both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We thought, ‘Let’s hold on. If we hold on, work will flow to the remaining companies,’ and we are holding on, waiting for that opportunity. I think Brothers Keeper is not the only one feeling these difficulties.”

 

For CEO Kim Seong-min, the difficulties are not business difficulties but something else.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news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giving up on life has increased by dozens of times more than usual. We are a company that solves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When we hear such news, we feel regretful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fulfill our role properly, and it has caused us a lot of mental difficulties.”

 

Such mental burdens have weakened CEO Kim Seong-min’s body and mind. He suffered from depression mentally and heart problems physically.

 

“I have been struggling to keep it to myself, but I think it is time to open up about the diseases I suffer from.”

 

In addition to landscaping, Brothers Keeper also provides education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Now, there are various types of education necessary for independence. For example, when children enter society, they often get involved in fraud or crime. To prevent such things, we provide legal education and legal services. Financial education is also necessary. When children earn money, they don’t know how to use it. Also, children mostly eat meals at facilities. I have never been in a kitchen. I have no experience making side dishes or cooking rice. I also need cooking education.”

 

However, the activity that Brothers Keeper focuses on the most is creating various bill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and representing their rights and interests.

 

CEO Kim Seong-min says that while managing personal stress or situations where you need to rest but cannot rest are difficult, changing social perceptions or things related to company management are not difficult.

 

“I don’t think changing society and transforming society is difficult for me. That’s something that you have to challenge and try. If you need to change perceptions, you just have to work hard until that perception changes. If you need to change laws, you can meet relevant organizations or people and get the opportunity to change those laws again.”

 

One of CEO Kim Seong-min’s wishes is for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to have a daily life where they worry about Monday blues.’

 

“I think the best welfare is a job. People who experience Monday blues are office workers. I think, ‘I wish our children had jobs and lived a life where they didn’t have to worry about Monday blues.’ Even if our children got jobs, they often make a living through part-time jobs. Regular companies have no choice but to hire more talented and smarter people. Our children don’t have competition with their regular friends. They all fail the application process.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make a living through part-time jobs. That’s why we created a social enterprise to solve this problem by hiring them directly. I hope that ‘my friends won’t worry about how to get a job, but will worry about going to work on Mondays because they have a job.’”

 

CEO Kim Seong-min was selected as one of the ‘20 Representatives of National Hope’ and even stood on the podium at President Yoon Seok-yeol’s inauguration ceremony.

 

“I didn’t even know I was selected. I just found out through a newspaper article. The article came out first, and then I got a call saying, ‘You’ve been selected as one of the 20 Representatives of National Hope, so come to the inauguration.’ I went up to the stage with the president and my seat was in the front row. When I looked at the people there, I saw that they were the ones who had the greatest social influence at that time.”

 

On January 14, 2022, during the Moon Jae-in presidency, CEO Kim Seong-min received the Presidential Citation.

 

In his acceptance speech, CEO Kim said, “I want to be a source of comfort, courage, and hope for young people who have left foster care,” and “I will think of this year as a new beginning, after living in a foster care facility for 17 years and living as a young person who has left foster care facilities for 17 years, and I will live by sharing the love I have received.” This touched our society greatly.

 

“I worked with the government during the Moon Jae-in presidency as well. In this government, I am continuing to speak out for young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rough the ‘Together with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committee under the president.”

 

We asked CEO Kim Seong-min about his happiest and most difficult days.

 

“Actually, after leaving the foster care facility, I lived on the streets for about 6 months. That was the hardest time in my life. Life at the orphanage was so painful and hard, but the 6 months I spent homeless after leaving the orphanage were really hard.

 

That’s when I realized it. I thought that my seniors were in prison and my sisters were prostitutes because they were bad. But when I came out into society, it wasn’t because they were bad, it was just the life that was given to us. I felt that so deeply and thought, ‘Someone needs to solve this problem, and if someone needs to solve this problem, I hope it’s me.’

 

Thankfully, I was able to continue doing related work, and when I created the social enterprise Brothers Keeper in 2018, I was able to speak out about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time when society recognized that ‘there are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and the time when many laws were changed through that, I think that was the happiest moment for me. I thought, ‘Someone needs to solve this problem, and I hope it’s me who solves it. I hope I can be used.’ When I found myself in that kind of field, I was the happiest.”

 

Representative Kim Seong-min also explained the process by which he was able to play a role in solving the issue of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2018, Mrs. Kim Jung-sook invited socially vulnerable groups to the Blue House. There were defector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one group was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which at the time were called children who had left protection. When Mrs. Kim Jung-sook invited me, she said, ‘I looked for experts related to children who had left protection, and you recommended Representative Kim Seong-min.’ That was the first time we proposed various bills necessary for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at was the first time our society realized that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existed. When the Blue House took an interest, the media took an interest. When the media took an interest, companies took an interest. The ping-pong phenomenon occurred, and from then on, society began to know more. That was the happiest time in my life. I know this history better than anyone else.

 

It’s the same now. Today, before the interview, I gave a lecture o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 think that when people remember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and want to know what they need, and when I continue to be used in such places, those are the moments when I feel great joy.”

 

There are happy times and sad times.

 

“I have many sad times, and I feel very sad whenever I hear news of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giving up on life. I feel sad because I keep thinking, ‘If I had worked harder, I could have solved this problem. The children wouldn’t have made that choice.’

 

However, it doesn’t just remain as sadness. In some cases, such news gives me the strength to work harder and do more diverse things.”

 

When asked, ‘What do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need most?’ when they leave the orphanage, CEO Kim Seong-min gave the answer that only he could give. Surprisingly, it wasn’t economic.

 

“Just as all our children have different faces and names, their needs are all different. However, there is one thing that is the same. The thing that all children lack equally is their ‘parents’. I think the biggest problem is not the economic one, but the emotional problem caused by the absence of parents. If the emotional problem is solved, the economic problem can be solved on its own.

 

What society can do is not this emotional problem, but the economic problem, so we created many laws and created support systems.

 

I think that the emotional problem is more important than this. However, we cannot find the parents that our children do not have. We cannot connect children who ar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to bad parents.

 

That is why I say that what our children need is not bad parents, but good adults. I thought that this society needed to connect good adults who could act as mentors to our children, so we proposed this to Gyeonggi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is creating 1,000 mentors every year.”

 

Since Brothers Keeper is a company located in Anyang City, I was curious about the hopes for Anyang City.

 

“Our Brothers Keeper started in Anyang. Brothers Keeper, which started in Anyang, raised the issue of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this society.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that is least interested i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s Anyang City. It is so unfortunate. That is why we have been continuously enacting ordinances related to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with our Anyang City Councilor Kim Do-hyun this year. Other cities invited me to create ordinances, but Anyang City was not prepared at all.

 

Anyang was much less interested i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 am not saying that the level of Anyang City’s ordinances related to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should be much higher than other cities. I think it should be at the level of other cities, such as giving priority to hiring children or creating a support system for children.”

 

Lastly, I asked Representative Kim Seong-min about his hopes for our society.

 

“Everyone experiences something at some point. It is death. Right? No one can avoid death. But there is one more thing that is the same. Just as no one can avoid death, everyone will become an orphan at some point. Right? Our children. Bad experiences, wrong experiences, and different experiences are not different experiences. They just experienced the experiences that everyone has to experience at some point.

 

That’s why I tell children this story every time I meet them. ‘Even if people look at you with prejudice, I hope you look at them with eyes that comfort them. Because the time you’ve spent is the time you’ll live in the future. Your time will comfort many people and the world.’

 

People treat our children with prejudice, make fun of them, or bully them because they don’t have parents. That’s really wrong. Because they themselves will eventually become orphans someday. Our children just experienced that first.

 

I really want to tell society about that story. In that sense, our children are not different people, they’re not wrong, and they didn’t have bad experiences.

 

I think that if people realize that, their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of our children will change a little.”

 

Where does CEO Kim Seong-min get the strength to think this way?

 

“I think it’s 100% from my faith. If I hadn’t met God, I would still be living as an orphan. From a human perspective, I would have never met my parents, and I don’t know who they are, but they abandoned me or lost me, so I would have been pessimistic about my life or maybe I wouldn’t be a person of this world.

 

However, from God’s perspective, I think I was chosen.

 

My life was chosen by God, and the 17 years I spent at the orphanage were not wasted time, but rather a time of training to understand the lives of children in the same environment as me. In that sense, I think the time I spent is the title I am most thankful for more than any other title I have now.”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김성민, 브라더스키퍼, 자립준비청년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