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정근원 칼럼]‘한국산 민주주의(Democracy. Made in Korea)’
기사입력  2025/04/09 [17:58] 최종편집    정근원 칼럼니스트

▲ 정근원 영상학 박사

대중과 함께 공부하는 사람 youngmirae@naver.com     ©

‘한국산 민주주의(Democracy. Made in Korea)?’

 

외신들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헌법재판소에서 선고되기까지 과정을 보고 만들어낸 용어다. 이 말 속에는 세계 민주주의를 한국이 선도한다고 인정하는 것이 느껴진다. 프랑스가 민주주의를 태동시켰다면, 한국은 미래의 민주주의의 모범을 만들어 갈 거라는 기대가 들어있다. 실제로 현지시간 4월 5일 미국 50개 주에서 일어난 1,400건의 시위는 폭력 없는 미국 최초의 시위였다. 유럽에서 같은 목적으로 열린 시위에서도 폭력은 없었다. 한국처럼 응원봉을 들고 음악에 맞춰 춤추기도 하였다고 한다. 가히 빛의 속도로 한국의 축제 같은 비폭력시위가 수출된 것이다.

 

민주주의의 성지가 될 대한민국

 

12.3 계엄으로 야기된 시위는 윤석열 탄핵 찬성과 반대로 나뉘었다. 젊은 세대 위주의 탄핵 찬성과 나이든 분들 위주의 탄핵 반대는 옳고 그름을 떠나 한국 사회의 의식(意識)의 변화를 보여준다. 윤석열은 국회에 군인을 난입시켜 비상계엄을 획책했다. 이에 저항한 눈 덮인 키세스 시위대 뒷모습은 거대한 침묵의 함성을 뿜어냈다. 세계는 전자에서 폭력의 힘(force)을, 후자에서 침묵의 힘(power)을 인식하였다(D. H. Hokins). 이 차이를 헌재는 윤석열을 대통령직에서 파면할 때 평소와 달리 오해의 여지가 없도록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일상의 언어로 명료하게 밝혔다.

 

두 개의 힘(force vs power) 사이에서 침묵의 소리를 이끌어내는 문화(文化)의 힘과, 이를 헌법재판소란 조직의 힘으로 해석해 내는 문명(文明)의 힘이 어울려 작동하는 모습을 세계는 보았다. 탄핵 찬성 시위대는 K-pop을 틀고 응원봉을 흔들며 춤추면서 익명의 개인들이 나와 소견을 발표했다. 밤에 보는 시위대는 색색이 아름다운 별들이 모인 우주였다. 개인들이 만들어온 개성 강한 깃발들은 시인 유치환의 ‘깃발’ 첫 줄의 ‘소리 없는 아우성’처럼 민주주의의 바다가 내지르는 ‘소리 없는 아우성’이었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은 기존의 시위법을 떠올린다. 낡은 방법이라는 뜻이다. 야만이기도 하다. 젊은이들이 주도해 벌인 축제 같은 시위는 긍정의 힘을 뿜어낸다. 이 힘이 탄핵 선고 때 걱정되던 폭력을 원천 봉쇄하는 기반이었다. 탄핵 반대 시위대에는 동원된 종교집단의 사람들이 많았다. 그만큼 주체적이지 못하고 집단주의에 휩쓸려 있다. 탄핵반대 시위자 중 한 명이 경찰차 유리창을 몽둥이로 부술 때 주변인들이 이에 동조하지 않고 저지한 것은 경쾌하고 밝은 새로운 시위 문화의 힘에 전염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폭력은 거부당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한국 사회가 ‘빛의 혁명’으로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한국이 대통령 선거까지 연이어 잘 치러내면, 한국은 새 역사로 진입하게 될 것이다. 눈 부릅뜨고 한국을 바라보고 있는 세계도 간접 학습으로 함께 새 역사로 접어들 것이다.

 

새로운 역사를 열어갈 대한민국

 

윤석열은 몽니를 부리며 재판 결과를 수용한다는 말을 하지 않으면서 헌법을 유린하고 있다. 내전이라도 치르자는 뜻일까? 헌재가 그의 파면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하면서 국민이 헌법에 근거해 논리적으로 성찰할 토대를 마련했다. 평소에는 조리 있게 생각하지 않는 역사의 의미, 민주주의, 사회조직, 시대의 변화, 폭력과 침묵의 힘, 결국 두 개의 힘인 force와 power에 대해 학습하는 기회가 되어야겠다.

 

세계는 현직 대통령을 피 한방울 흘리지 않으면서 끌어내린 이번 사태를 무혈혁명으로 보고 있다. 알고 보니 세계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한다. 가보지 않은 길을 한국이 가고 있는 셈이다. 외국 언론을 찾아보니 정작 세계가 한국보다 더 놀라며 열광하고 있었다. 이렇게 세계가 한국을 주시하기 때문에 한국은 미래를 이끌어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제 한국은 K-culture만이 아니라 K-politics란 별칭도 갖게 되었다. 그뿐만이 아니라 군사력과 경제력, 과학, 조선, 예술 등 여타 분야에서도 한국은 세계에서 뚜렷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오히려 한국인이 이런 사실을 모른다고 외국인들은 말한다.

 

시대는 물리적 힘(force)이 국력이던 시대에서 문화적인 정신적 힘(power)이 중요해지고 있다. 미국은 지금 한류로 드러나는 힘인 power의 영향으로 청년들의 정체성이 흔들린다고 염려한다. 알고 보면 미국만이 아니라 유럽과 남미, 아랍, 동남아, 인도, 아프리카까지 한류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문화사가들은 물리적 힘(force)은 근대성으로 치부되고 문화적 정신적 힘(power)이 미래 세계를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한다. 한류에 대한 연구가 외국에서 치열하게 일어나는 이유이기도 하다.

 

세계적 석학들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걱정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발견한 ‘한국산 민주주의(Democracy. Made in Korea)’는 물리적 힘인 force가 아니라 정신적 힘인 power로 민주주의를 되살려낼 희망을 품는다고 한다. 그럼으로써 민주주의의 진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정근원(영상학 박사, 대중과 함께 공부하는 사람) youngmirae@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 일부 수정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g Geun-won Column] ‘Democracy. Made in Korea’

 

‘Democracy. Made in Korea?’

 

This is a term that foreign media outlets created after observing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on President Yoon Seok-yeol’s impeachment. This term seems to acknowledge that Korea is leading the world in democracy. If France gave birth to democracy,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become a model for future democracy. In fact, the 1,400 protests that took place in all 50 states on April 5 (local time) were the first non-violent protests in the United States. There was no violence in protests held for the same purpose in Europe. It is said that some even held cheering sticks and danced to the music, just like in Korea. Korea’s festival-like non-violent protests were exported at the speed of light.

 

Republic of Korea, the Mecca of Democracy

 

The protests that resulted from the December 3 martial law were divided into those for and against Yoon Seok-yeol’s impeachment. The young generation’s support for impeachment and the older generation’s opposition to impeachment show a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regardless of right or wrong. Yoon Seok-yeol attempted to impose martial law by sending soldiers into the National Assembly.

 

The snow-covered Kiss protesters who resisted him emitted a huge, silent roar. The world recognized the power of violence (force) in the former and the power of silence (power) in the latter (D. H. Hokins). The Constitutional Court, unlike usual, clearly stated this difference in everyday language that anyone could understand when it impeached Yoon Seok-yeol from the presidency, leaving no room for misunderstanding.

 

The world saw the power of culture (文化) that elicits the sound of silence between the two forces (force vs. power) and the power of civilization (文明) that interprets this as the power of an organization called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impeachment protesters played K-pop, waved cheering sticks, and danced, while anonymous individuals came out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The protesters seen at night were like a universe filled with colorful, beautiful stars. The strong flags created by individuals were like the ‘silent scream’ of the sea of ​​democracy in the first line of poet Yoo Chi-hwan’s ‘Flag.’ The riot at the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reminds us of the existing protest laws. It means an old method. It is also barbaric. The festival-like protests led by young people exude positive energy.

 

This energy was the basis for blocking the violence that was a concern during the impeachment. Many people from religious groups were mobilized in the anti-impeachment protests. They are not independent and are caught up in collectivism.

 

When one of the anti-impeachment protesters smashed the window of a police car with a club, the people around him did not join in and stopped him because they were infected with the power of the new, cheerful and bright protest culture.

 

They have now learned that violence is to be rejected.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revolution of light.’ If Korea continues to hold successful presidential elections, Korea will enter a new era of history. The world, which is glaring at Korea, will also enter a new history together through indirect learning.

 

Republic of Korea, which will open a new history

 

Yoon Seok-yeol is trampling on the Constitution by pretending to be sleepy and not saying that he will accept the trial results. Does he mean that he wants to start a civil war?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to logically reflect on the Constitution by explaining the reasons for his impeachment point by point. This should be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meaning of history, democracy, social organization, changes in the times, the power of violence and silence, and ultimately the two powers of force and power, which we usually do not think about logically.

 

The world is viewing this incident, in which the incumbent president was brought down without shedding a single drop of blood, as a bloodless revolution. As it turns out, this is the first time this has happened in the world. Korea is taking a path that has never been taken before. When I looked into foreign media, I found that the world was more surprised and excited than Korea.

 

Since the world is watching Korea like this, Korea has no choice but to lead the future. Now, Korea has not only K-culture but also the nickname of K-politics. Not only that, but Korea is also standing out in the world in other fields such as military power, economic power, science, shipbuilding, and art. On the contrary, foreigners say that Koreans are unaware of this fact.

 

In an era where physical power (force) was national power, cultural and spiritual power (power)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United States is concerned that the identity of young people is being shaken by the influence of power, which is now revealed through the Korean Wave.

 

As it turns out, the number of people who love the Korean Wave is increasing explosively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Europe, South America, Arab countries, Southeast Asia, India, and Africa. Cultural historians predict that physical power (force) is considered modernity, and cultural and spiritual power (power) will lead the future world. This is also the reason why research on the Korean Wave is fiercely taking place overseas.

 

World-renowned scholars are worried about the crisis of democracy. The ‘Democracy. Made in Korea’ discovered by foreigners is said to harbor hopes of reviving democracy with power, not physical force. They believe that the evolution of democracy will occur as a result.

 

Jeong Geun-won (PhD in Film Studies, a person who studies with the public) youngmirae@naver.com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