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안양시, ‘2035년 안양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고시
평촌신도시 정비 기본방향·부문별계획·단계별 추진계획 등 담아
기사입력  2025/04/11 [10:21]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안양시 청사 전경     ©

 

안양시가 지난 4월 8일 ‘2035년 안양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을 경기도의 승인을 거쳐 고시했다. 안양시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된 ‘2035년 안양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안양시 고시 제2025-77호)’이 고시됨으로써 평촌신도시 정비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기반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2035년 안양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에는 △평촌신도시 정비의 기본방향 △기반시설·교통·이주대책·부동산가격 안정화 등 부문별계획 △연차별 정비 물량 등 단계별 추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대한 방향과 전략이 담겼다.

 

아울러 도시공간 재구조화를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와 통합 정비 기반의 정주 환경개선을 목표로, 건축물 밀도계획과 구역별 특별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반도 함께 제시됐다.

 

안양시는 이번 정비기본계획을 통해 노후화된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도시기능과 경관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특히 교통체계 개편과 녹지공간 확보 등을 통해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되고, 주민 삶의 질 제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양시는 선도지구 외 정비 대상 구역의 물량 선정과 관련해 국토교통부 및 다른 1기 신도시 지자체들과 협의 중이며, 향후 구체적인 추진 방안 마련 후 관련 내용을 안내할 계획이다.

 

이번 2035년 안양시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은 안양시 홈페이지 고시공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이번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에 따라 평촌신도시 정비가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이를 바탕으로 1기 신도시 정비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 일부 수정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nyang City Announces ‘2035 Anyang Aging Plan Master Plan’

Includes basic direction of Pyeongchon New Town development, sector-specific plans, and stage-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On April 8, Anyang City announced the ‘2035 Anyang Aging Plan Master Plan’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Gyeonggi Province. Anyang City announced on the 9th that the ‘2035 Anyang Aging Plan Master Plan (Anyang City Announcement No. 2025-77)’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Aging Plan City Development and Suppor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systematically promoting Pyeongchon New Town development.

 

The ‘2035 Anyang Aging Plan Master Plan’ contains the following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overall development project: △Basic direction of Pyeongchon New Town development; △Sector-specific plans such as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relocation measures, and real estate price stabilization; and △Stage-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such as annual development volume. In addition,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building density plan and a special district-specific master plan was also presented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urban space restructuring and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integrated development.

 

Anyang City expects that this master development plan will not only improve the aging residential environment, but also dramatically enhance urban functions and landscapes, and in particular, greatly improve residential conditions through transportation system reorganization and securing green space,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yang City is currently consulting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 first-generation new city local governments regarding the selection of areas to be developed outside of the pilot district, and plans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after establishing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in the future.

 

This 2035 Anyang City Aging Plan Master Plan can be found in the Announcement section of the Anyang City website. Anyang Mayor Choi Dae-ho said, “The foundation for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romotion of Pyeongchon New Town development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is basic plan for aging cities,” and added, “Based on this, we will not spare administrative support to ensure that the first new town development can proceed without a hitch.”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