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시범사업’ 추진 정책설명회 개최
6월 중 ‘세부 시행지침 확정…비전문선수 출신 생활체육 지도자 지급대상자 포함(안) 발표
기사입력  2024/06/10 [17:03]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경기도가 ‘체육인 기회소득 시범사업’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

 

경기도가 ‘체육인 기회소득 시범사업’ 추진에 앞서 시군, 체육기관 및 단체를 대상으로 정책설명회를 지난 6월 5일 경기도체육회관에서 개최했다.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은 19세 이상 중위소득 120%이하의 현역선수, 선수 출신 지도자, 심판 등 도내 체육인에게 연 150만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정책설명회 결과를 반영해 이달 중 지급 기준을 최종 확정한 후 7월 중 사업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도는 6월 중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시범사업’ 세부 시행지침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날 정책설명회는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대상자 자격 기준과 관련, 전문선수, 은퇴전문 선수를 포함해 전문선수 경력이 없는 생활체육 출신의 지도자도 입상 경력과 일정 수준 이상의 지도자 자격을 갖춘 경우 지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설명회에는 김양례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수석연구위원을 비롯해 이종돈 문화체육관광국장, 김택수 경기도체육회 사무처장, 백경열 경기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 정두원 경기도장애인배구협회 사무국장, 박성배 안양대교수 등이 참석했다.

 

김양례 수석연구위원은 발제를 통해 △체육인 기회소득의 정책추진 배경 △체육인 복지법상 체육인의 범위 규정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지급조례의 분석 등 그간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관련 연구 내용을 소개하며 향후 정책추진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패널토의에서는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도입과 사회적 가치 환원 방안, △체육인들에게 기회 소득이 필요한 이유, △장애인 체육활동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체육인 기회소득 지급대상자 및 기대효과 등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이종돈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앞으로도 체육인과의 다양한 소통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을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체육인 기회소득 정책을 통한 체육인의 사회적 가치 창출이 도민들께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gi-do holds policy briefing session to promote ‘Athlete Opportunity Income Pilot Project’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s confirmed in June… Announcement of inclusion of non-professional athlete-turned-lifestyle sports instructors eligible for payment (draft)

 

 

Prior to promoting the ‘Athlete Opportunity Income Pilot Project’, Gyeonggi Province held a policy briefing session for cities, counties, sport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t the Gyeonggi Province Sports Center on June 5.

 

Gyeonggi-do's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is an annual payment of 1.5 million won to athletes in the province, including active athletes, former athlete coaches, and referees, who are over 19 years old and earn less than 120% of the median income. The payment standards will be finalized in July after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olicy briefing session and finalized in July. The goal is to promote mid-sized business. Gyeonggi Province plans to finalize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Gyeonggi Province Athlete Opportunity Income Pilot Project’ in June.

 

The policy briefing session on this day was related to the criteria for eligibility for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in Gyeonggi-do, and a plan to allow coaches from recreational sports, including professional athletes and retired professional athletes, without professional athlete experience, to receive payment if they have prize-winning experience and leader qualifications above a certain level. explained.

 

Attending the briefing session were Kim Yang-rye,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Korea Institute of Sports Policy and Science, Lee Jong-don, director of the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reau, Kim Taek-soo, secretary general of the Gyeonggi Province Sports Association, Baek Kyeong-yeol, secretary general of the Gyeonggi Province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Jeong Doo-won, secretary general of the Gyeonggi Province Disabled Volleyball Association, and Anyang University professor Park Seong-bae.

 

In his presentation, Senior Research Fellow Kim Yang-rye introduced the contents of research on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in Gyeonggi-do, including the background of policy promotion for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regulations on the scope of athletes under the Athlete Welfare Act, and analysis of the ordinance on payment of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in Gyeonggi-do, and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y promotion. presented.

 

In the subsequent panel discussion, various opinions were expressed, including △ the introduction of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in Gyeonggi-do and ways to return social value, △ why athletes need opportunity income, △ creation of social value through sports activities for the disabled, and △ recipients of opportunity income for athletes and expected effects. done.

 

Lee Jong-don, director of the Gyeonggi Province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reau, said, “We will continue to collect opinion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with athletes and supplement and develop policies.” He added, “We will strive to ensure that the creation of social value by athletes through the athlete opportunity income policy is recognized by the citizens of the province.” “I will do it,” he said.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