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국회의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배제된 삶들의 마음을 받아 다시 시작하겠다”
권영국후보 경기공동선거대책위, 제21대 대선 결과 관련 성명
기사입력  2025/06/10 [15:53]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 지난 6월 4일 오전 10시 민주노동당 중앙당사에서 권영국 선거결과발표 기자회견이 열려 권영국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

 

권영국후보 경기공동선거대책위원회가 지난 6월 5일 제21대 대선 결과와 관련해 “배제된 삶들의 마음을 받아 다시 시작하겠습니다”란 제목으로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는 “권영국 후보에게 보내주신 경기도민 여러분의 성원에 깊이 감사드린다”는 말로 시작해 “지난 6월 3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권영국 후보가 전국 344,150표(0.98%), 경기도에서 84,074표(0.91%)의 소중한 지지를 받았다”며, “수치로만 보면 작은 결과일 수 있지만, 우리는 이 한 표 한 표가 가진 무게와 의미를 깊이 새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경기 득표율 0.91%는 의미 있는 결과”라며, 그 이유를 “수도권의 치열한 대결 구도와 지역의 보수적 정치 지형 속에서도 진보정치의 필요성을 인정해주신 분들이 계셨기 때문이다. 기후정의, 농민의 생존권, 비정규직 노동자의 권익, 여성과 성소수자, 장애인과 이주노동자의 존재 이 모든 외침이 경기도에서도 외면받지 않았음을 확인했다”고 밝힌다.

 

 

성명서는 “이재명 후보의 당선은 내란세력을 청산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려는 국민들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이제 새 정부는 광장에서 외쳤던 사회대개혁의 과제를 반드시 실현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 권영국 후보에게 모였던 노동자, 농민, 여성, 장애인, 성소수자, 이주민, 기후정의에 대한 마음도 놓치지 않고 받아안아 주길 바란다”고 당부한다.

 

마지막으로 “선거 이후 권영국 후보에게는 13억 원의 후원금이 모였다. 3만5,000 시민들이 낙선한 후보에게 보내준 이 마음은, 정권교체 그 이후에도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할 진보정치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간절한 요구”라며, “권영국 캠프와 진보정치는 이 소중한 마음을 결코 잊지 않겠다. 경기도의 노동자, 농민, 여성, 청소년, 자영업자, 성소수자, 장애인, 이주노동자들과 함께하겠다. 배제된 삶들, 밀려나는 존재들, 불리지 못하는 정체성들. 이들의 마음을 받아 다시 시작하겠다. 진보정치가 있어야 할 곳, 그곳에 언제나 먼저, 그리고 마지막까지 함께하겠다”고 마무리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e will start again by accepting the hearts of the excluded lives”

 

Gyeonggi Joint Election Countermeasure Committee of Candidate Kwon Young-guk, Statement on the Results of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On June 5, the Gyeonggi Joint Election Countermeasure Committee of Candidate Kwon Young-guk released a statement titled “We will start again by accepting the hearts of the excluded lives”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The statement began with the words, “We deeply appreciate the support that Gyeonggi residents have given to Candidate Kwon Young-guk,” and said, “In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held on June 3, Candidate Kwon Young-guk received the precious support of 344,150 votes (0.98%) nationwide and 84,074 votes (0.91%) in Gyeonggi Province,” and added, “It may seem like a small result when viewed only in numbers, but we are deeply engraving the weight and meaning of each vote.”

 

 

 

Next, he said, “The 0.91% voter turnout in Gyeonggi is a meaningful result,” and explained the reason as, “Because there were people who recognized the need for progressive politics even in the midst of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conservative political landscape of the region. We have confirmed that all of these cries for climate justice, farmers’ right to survive, the rights of irregular workers, women, sexual minorities, the disabled, and migrant workers were not ignored in Gyeonggi Province.” The statement said, “I believe that the election of candidate Lee Jae-myung is a result that reflects the people’s desire to liquidate the forces of internal strife and restore democracy,” and added, “The new government must now absolutely realize the task of social reform that was shouted out in the plaza. In particular, I hope that candidate Kwon Young-guk will not miss out on the hearts of workers, farmers, women, the disabled, sexual minorities, immigrants, and climate justice that were gathered.” Finally, “After the election, candidate Kwon Young-guk received 1.3 billion won in donations. This heart that 35,000 citizens sent to the defeated candidate is an earnest demand that progressive politics that represents the voic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are still needed even after the change of government,” he concluded. “Kwon Young-guk’s camp and progressive politics will never forget this precious heart. We will stand with the workers, farmers, women, youth, self-employed, sexual minorities, the disabled, and migrant workers of Gyeonggi Province. The lives that are excluded, the beings that are pushed out, the identities that are not called. We will start again by accepting their hearts. We will always be there first and until the end, where progressive politics should be.”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