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도시공사 노성화 사장을 지난 3월 18일 그의 집무실에서 만났다. 노 사장은 취임 100일을 맞이해 지난 2월 18일 인터뷰 자료를 배포했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전해 주는 인터뷰는 게재하지 않는다는 본지 방침에 따라 당시의 인터뷰는 기사화 하지 않았다. 노성화 사장은 최근 조직을 일신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新 경영전략 선포식’을 개최하는 등 의왕도시공사의 변화와 발전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 어렵게 시간을 마련해준 노성화 사장에게서 의왕도시공사가 취임 이후 어떻게 변화했는지, 미래의 비전은 무엇인지 등등에 대해 들어봤다. 다음은 노성화 사장과의 일문일답.
취임한지 4개월 여가 지났다. 그동안 역점을 뒀던 사업은?
“조직을 혁신해야 한다 생각하고 취임 이후 맨 먼저 부르짖었던 게 ‘변화’와 ‘혁신’이다. 변화 혁신을 위해서 가장 먼저 직접 단장이 돼서 경영혁신 TF단을 조직했다. TF에서 조직, 인사, 이런 부분을 검토해서 3월 초에 최종 결과가 나왔다. 그걸 토대로 3월 4일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조직은 권한과 책임이 어느 정도 균등해야 되는데 와서 보니까 인사 예산 등 모든 게 경영지원처에 다 몰려 있었다. 경영지원처와 기획 홍보처가 있는데 기획 홍보처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어서 공사를 총괄하는 업무 부분들은 기획홍보실에서 할 수 있도록 사장 직속으로 두고 경영지원처는 그야말로 총무 인사 이런 쪽에 집중하도록 해서 부서 간에 권한과 책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제도로 개편했다.”
조직 운영 방침은 무엇인가?
“조직의 인사는 예측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해야 한다.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성과 관리다. 우리가 혁신적으로 성과관리를 하지 않으면 공사가 발전할 수 없다는 인식 하에 개인이나 부서나 성과지표에 맞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를 완벽히 개선했다. 성과지표에 따라서 인사, 승진, 보직까지 전체적으로 조직 운영을 합리적으로 하고 있다.”
▲ 노성화 사장(청색옷)이 의왕도시공사 개발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
|
지난해 11월 1일 의왕시의회는 서창수 의원이 대표발의한 ‘의왕도시공사 신사옥 주민편익시설 주민 의견 수렴 절차 위법성에 대한 옴부즈만 조사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이후 옴부즈만 조사가 어떻게 진행됐는가?
“공유 주방이나 이런 내용들에 대해서 투표 과정에서 도시공사 직원들한테 ‘어디에 투표를 해라’ 지시 내리고 보고를 하라고 했던 카톡 지시, 이런 내용들은 확인된 사실이다.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옴브즈만이 감사를 해서 징계를 하라’고 의회에서 건의안을 낸 것이다.
우리가 옴부즈만 감사도 하고 법률 자문도 받았다. 그 사안이 강압적으로 이루어진 사항이 아니고 업무적으로 했던 사항으로 판단이 돼서 경찰 수사 등을 통해서 당사자는 일단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취임 전에 발생한 일이지만 우리가 업무적으로 필요한 조치는 취해서 일단은 마무리가 됐다.”
오메기 지구 개발 사업이 LH로 넘어갔다. 왜 그렇게 된 건가?
“나도 오메기 지구 개발 사업을 도시공사가 했으면 하는 바람을 안고 여기 왔다. 막상 와서 보니까 이미 의회나 또는 시나 여러 관계 속에서 도시공사가 민간 합동 PFV로 하는 사업 방식이 아닌 제3의 방식으로 하겠다는 걸로 이미 결론이 나 있었다.
상당히 아쉬운 게 사실이다. 도시공사의 기본적인 존립의 근간은 그런 도시 개발 사업을 통해서 우리 시의 재정이나 또는 도시공사의 재정을 더 튼튼히 하고 그걸 통해서 시민들한테 우리 시의 인프라를 더 확충하는 거다. 사실은 그런 게 나의 꿈이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미 그렇게 결론이 난 것을 시의 하부 기관으로서 사장으로 왔다고 해서 바꿀 수는 없다. 다행히 이제 시가 국토부하고 협의를 해서 공공주택 사업지구로 오전·왕곡지구를 포함해서 대규모 택지개발을 추진 한 거는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의왕도시공사가 거기에 참여를 못한 거는 지금도 아쉬움으로 남아 있다.”
▲ 지난해 11월 4일 의왕도시공사 노성화 사장(오른쪽)이 김성제 시장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기념촬영을 했다. ©
|
의왕도시공사의 가장 큰 현안이 재정 적자일 것 같다. 어떻게 해결하려고 하나?
“의왕도시공사는 아직 현금 보유 능력도 있고, 앞으로 사업을 해 나갈 여력도 충분하다. 다만 매 회계연도 결산상에서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반드시 개선해야 될 부분이다.
2023년만 해도 62억 정도 결산상 손실이 났고 2024년도에도 한 10억 정도 손실이 예상된다.
공사의 업무가 크게 보면 대행 사업과 자체 사업 두 개로 나눌 수가 있다. 대행 사업은 시의 업무를 위탁받아 체육센터, 왕송호수 이런 걸 관리하는 거다. 말하자면 시민들한테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대행하는 사업이다. 대행 사업의 비용은 시의 재정을 가져다가 시민들한테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수익도 없고 지출도 없다.
그런데 자체 사업 분야는 그야말로 공사가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우리가 공익적 사업을 통해서 수익 창출을 해야 한다.
우리 공사가 2013년도에 창립이 돼가지고 자체 사업을 한 게 크게 보면 백운밸리와 장안 PFV 이 두 개다. 백운밸리 같은 경우는 사업이 아주 성공적으로 진행이 돼서 거기에서 상당 부분 이익 배당을 받았다. 투자된 재원이 5년 내지 10년 후에 이렇게 들어오는 거다. 이익이 환수되기까지는 모든 지방 공사들이 다 적자로 운영이 될 수밖에 없다.
구조상 그렇다. 도시공사가 어떻게든 시민들한테 기여를 하려면 그만큼 시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우리가 사전에 충분히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대규모 투자와 관계없이 매년 20억 정도 적자가 예상된다면 20억을 매년 메꿔야 될 거 아닌가?
그래서 내가 직원들한테도 ‘자체 사업은 자체 사업대로 우리가 아이디어를 내서 수익 창출 방안을 내야하고, 공공 서비스 분야는 공공 서비스 분야대로 정말 우리가 열심히 해서 시민들한테 사랑받는 기업이 돼야 되지 않겠느냐’ 맨날 강조한다.
그러면 20억을 어떻게 메꿀 거냐? 앞으로 추진 중인 대규모 사업에 대해서는 성실히 준비를 해야 한다. 고천·오전 공업지역 재정비 사업이라든가 도시개발 사업은 백운밸리가 증명을 하듯이 수익이 발현되려면 최소 5년 10년이 걸린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리가 백운 호수에서 이익 배당 받은 거 까먹으면서 가는 거는 옳지 않으니 우리가 그간에 먹고 살 수 있는 공익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사업을 하나씩 찾아보자.
그래서 20억 정도는 내 임기 안에 매년 벌어들일 수 있도록 반드시 그렇게 만들어 놓고가겠다 생각하고 있다. 지금 하나하나 추진해 가고 있다.
직원들한테 ‘포장마차라도 공익적인 부분이 있다면 우리가 사업을 할 수 있는 그런 자세로 아이디어 하나하나 다 가져와라’ 브레인 스토밍도 여러 번 했다. 100개의 아이디어 중에 하나만 성공해도 사업적으로 성공하면 그건 대단한 거다.
지금 그렇게 첫 번째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 바로 태양광이다. 두 번째는 많지는 않지만 자체 보유 토지에 건축을 지어서 그 건축에서 나오는 임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타당성 검토를 하고 있지만 태양광에서 연간 한 5억 정도 벌어들이고, 건물 임대 수익으로 연간 5억 정도 들어오면 한 10억 정도가 되지 않나?
그러면 우리가 다른 용역이라든가 이런 걸 통해서 한 10억 정도는 또 충분히 벌어올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결산상 영업 손실이 왜 나느냐 이런 지탄도 받지 않을 거다. 공사는 회사다. 떳떳하게 공익사업을 통해서 적은 돈이지만 벌어들이면서 그걸 통해서 운영해 가고 이제 나중에 대규모 사업 수익이 생기면 그 대규모 사업 수익은 사업 수익대로 또 다른 사업을 하는데 투자를 하면 된다.
이제 올해가 지나고 나면 내년도부터는 연말 결산에서 그렇게까지 손실은 없을 거라 본다. 물론 이제 투자가 많을 때는 영업 손실은 많아질 수 있다.
어쨌거나 결산서를 검토해 본 결과 투자를 안 한 상태에서 이대로 지속되면 매년 20억 정도 손실이 나니 그 20억만큼은 우리가 꾸준히 메꿔 갈 수 있는 그 사업 구조를 만들겠다는 게 내 생각이고 그렇게 지금 해 나가고 있다.”
▲ 노성화 사장(가운데)이 의왕도시공사 간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
태양광 사업은 어떻게 구상을 하게 된 것인가?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나?
“사실 이제 경기도에서 3월 14일까지 도비 지원 공모가 있었다. 워낙 시간이 촉박하다 보니 도비 지원에 공모를 하려고 짧은 시간에 막 준비를 했다. 시하고 물론 그전에도 소통은 했었는데 태양광 사업을 위한 여러 개 공공 부지 중에 한두 부지는 안전상의 문제라든가 이런 문제로 이게 좀 어려울 것 같다. 그걸 제외하고 나머지에 대해 지금 타당성 검토를 하고 있다. 사실 도비 지원은 대출 형태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제 그거 받고 안 받고에 관계없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 의왕시 몇 군데 공공시설 부지 유휴 부지를 검토하고 있다. 타당성이 입증되면 금년 내에 태양광을 설치해서 내년도부터는 수입이 들어오는 구조로 만들어 가고 있다.
초기이기 때문에 타당성이 제대로 나올지 모르지만 이게 20년 정도 수율을 놓고 보면 공사 내에서 자체적으로 검토해보니 7년 이내에 손익 분기점이 된다. 타당성 검토 결과가 일단 나와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지만 7년 이후부터는 오롯이 그게 다 수익으로 들어오는 그런 구조다.”
의왕도시공사를 어떻게 발전시켜 갈 것인가? 어떤 비전을 가지고 있나?
“공사는 시설관리공단이나 이런 게 아니기 때문에 공공의 이익을 전제로 해서 반드시 일정 부분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모델을 반드시 가지고 가야 한다. 기본적으로 회계 연도별 사업 수익이라든가 이런 부분도 꼼꼼히 챙길 계획이다. 공사는 의왕시 시민을 빼고는 한 발자국도 나갈 수도 없다. 시가 발전하고 시민들로부터 사랑을 받는 그런 구조가 되지 않으면 공사의 연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그런 관점에서 우선 공사의 사업 구조를 튼튼히 만들고 우리 직원들의 의식 혁신을 통해서 시민들한테 진짜 사랑받는 공기업이 되도록 제 임기 3년 동안에 기반 닦아놓고 운영을 해 갈 생각이다.”
그런 기반을 닦기 위해서 구체적인 계획은?
“소규모 개발을 통한 수익 모델을 만들 생각이다. 사업 구조적인 측면에서 대규모 개발도 꾸준히 준비해 나가고 소규모 개발을 통해서 매년 수익이 들어올 수 있는 그런 구조를 만들어 갈 거다. 소규모 개발, 소규모 다품종 사업을 해서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큰 거 하나를 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거고 조그만 거 하나씩을 여러 개 꾸준히 해 나가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
직원들 의식과 관련해서 ‘권한과 책임’ 이런 걸 굉장히 강조하고 있다.
직원들이 열심히 일해서 성과를 내면 그게 나한테 보상으로 갈 수 있도록 성과보상 제도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금년도부터는 팀별로 다 경쟁을 시켜버렸다.
직원들의 약간의 반발은 있을 수 있지만 ‘우리가 다 같이 파이를 키워야지 그 조그마한 파이 가지고 너 더 먹고 나 덜 먹고 하는 거는 아니다. 파이를 더 키우자. 그래서 큰 파이에서 내가 조금 덜 먹었다 하더라도 적은 파이에서 더 먹는 거보다는 훨씬 더 낫지 않겠느냐’ 꾸준히 설득해서 직원들도 많이 공감하고 있다.
금년도부터는 진짜 성과 많이 내면 거기에 따른 보상이 더 갈 수 있는 그런 구조로 이미 만들어 놨다.”
▲ 의왕도시공사가 지난해 12월 2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제19회 2024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시상식에서 ‘UUC 관내 경로당 회계처리 재능기부 봉사활동’으로 외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
|
직원들 반응은 어떤가?
“디테일한 기준까지를 수립을 아직 못 했다. 지난 2월 18일 ‘新 경영전략’선포식을 하면서 직원들한테 충분히 설명했다. 그때 직원들 반응은 ‘아이고 진짜 열심히 해야겠네’ 그랬다. 직원 몇 명 안 되니까 엊그제 들어온 사원도 지나가다 마주치면 들어오라고 해서 여론을 들어본다. ‘사장이 지금 하고 있는 거에 대해서 평가해 봐’ 그러면 직원들도 허심탄회하게 ‘열심히 하겠다’ 얘기한다. ‘사장 앞에서라고 그런 얘기하지 말고’ 그러면 ‘진짜 그렇습니다’ 답한다. 어느 조직이나 100% 다 같이 끌고 갈 수는 없다. 꼭 100%는 아니라 하더라도 직원들 여론은 상당히 좋다.”
마지막으로 꼭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주역 계사전에 ‘궁즉변(窮卽變) 변즉통(變卽通) 통즉구(通卽久)’라는 말이 있다. ‘궁하면 변해야 되고 변하면 통하게 되고 통하면 오래 간다’는 뜻이다.
지역사회에서 우리가 소통하지 않고는 어느 것도 해낼 수 없다.
직원들과 사장·간부들하고의 소통, 또 직원들 간의 소통, 공사하고 시하고의 소통, 공사하고 의회와의 소통, 공사하고 시민과의 소통, 이런 게 원활하지 않으면 결국은 어딘가 동맥 경화가 일어나고 어딘가는 썩게 돼 있고 병들게 돼 있다. 결국은 우리가 어렵게 되니 우리 공사 직원들은 공통’의 목표로, ‘소통’하며, ‘통통’ 뛰는 발빠른 혁신을 일으키자. 3通’이 이제 금년도 우리 공사의 캐치프레이즈다.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우리 공사는 ‘통하는 의왕도시공사 만들기’를 추진하고자 한다.
공사는 앞으로 시나 시의회나 시민들과 충분히 소통해서 업무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진정성을 가지고 모든 것을 해 나가려고 하니 그런 과정을 시민들이나 의회나 시에서 잘 지켜봐 주시고 좀 격려해 주시면 좋겠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terview] President Noh Sung-hwa of Uiwang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We will make the business structure strong and become a beloved public corporation through employee consciousn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for change and innovation… Generating profits through small-scale, multi-variety businesses
We met President Noh Sung-hwa of Uiwang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at his office on March 18. President Noh distributed interview materials on February 18 to mark his 100th day in office. However, in accordance with our newspaper’s policy of not publishing interviews that are unilaterally delivered, the interview at that time was not published as an article. President Noh Sung-hwa has recently carried out a reorganization to completely reorganize the organization and is making every effort to change and develop Uiwang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including holding a ‘New Management Strategy Declaration Ceremony.’ We asked President Noh Sung-hwa, who made time with great difficulty, about how Uiwang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has changed since taking office and what his vision for the future is, etc. The following is a Q&A with President Noh Sung-hwa.
It has been about four months since you took office. What businesses have you focused on during that time? “I thought the organization needed to be reformed, and the first thing I cried out after taking office was ‘change’ and ‘innovation.’ In order to bring about change and innovation, I first became the head and organized the Management Innovation TF. The TF reviewed the organization, personnel, and other aspects, and the final results came out in early March. Based on that, I carried out an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on March 4.
An organization should have a certain degree of equality i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but when I came here, I saw that everything, including the personnel budget, was concentrated in the Management Support Office. There is the Management Support Office and the Planning and Public Relations Office, but the Planning and Public Relations Office was not doing its job, so I reorganized the system so that the work that oversees construction could be done in the Planning and Public Relations Office, placed under the president’s direct control, and the Management Support Office focused on general affairs and personnel, etc., so that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could be smoothly distributed between departments.”
What is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policy? “An organization’s personnel management should be not only predictable but also fair. What I consider most important is performance management.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corporation cannot develop unless we innovatively manage performance, we have completely improved the system so that individuals, departments, and individuals can perform their work according to performance indicators. We are rationally operating the organization as a whole, from personnel management to promotions and positions, based on performance indicators.”
On November 1st of last year, the Uiwang City Council adopted a motion urging an ombudsman investigation into the illegality of the procedure for collecting residents’ opinions on the new building of the Uiwang Urban Corporation’s resident convenience facilities, proposed by Representative Seo Chang-soo. How did the ombudsman investigation proceed after that? “The fact that the city construction workers were instructed via KakaoTalk to ‘vote where’ and report on shared kitchens and other such matters during the voting process has been confirmed. The council made a motion to ‘inspect and discipline’ regarding such matters.
We conducted an ombudsman audit and received legal advice. The matter was judged to have been not coerced but rather a business matter, so the person in question was cleared of charges through a police investigation. It happened before the inauguration, but we took the necessary measures for business purposes, so the matter has been concluded for the time being.”
The Omegi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transferred to LH. Why did that happen? “I also came here hoping that the city corporation would take over the Omegi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When I actually came here, I saw that the city corporation had already decided to take a third approach, not a private joint PFV project, through the council or the city and various other parties.
It’s quite regrettable. The fundamental basis for the existence of the city corporation is to strengthen the finances of our city or the city corporation through such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of our city for the citizens through them. In fact, that was my dream and plan. However, I can’t change something that has already been decided just because I came as the president of a lower-level organization of the city. Fortunately, I think it’s fortunate that the city has now negotiated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is promoting large-scale housing development, including the Ojeon and Wanggok districts, as public housing project areas.
I still regret that the Uiwang City corporation was unable to participate in that.”
The biggest issue for the Uiwang City corporation seems to be its financial deficit. How do you plan to solve it? “Uiwang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still has the ability to hold cash and has enough room to carry out business in the future. However, it is incurring a deficit in the financial statements every fiscal year. This is an area that must be improved.
In 2023 alone, there was a financial loss of about 6.2 billion won, and a loss of about 1 billion won is expected in 2024.
If you look at the work of the corporation,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agency work and own business. Agency work is managing the sports center and Wangsong Lake on behalf of the city. In other words, it is a business that provides public services to citizens. The cost of agency work is to provide services to citizens by using the city’s finances, so we have no profit or expenses.
However, since the own business sector is carried out by the corporation itself, we have to generate profit through public interest projects.
Our corporation was founded in 2013 and has carried out two own businesses: Baekun Valley and Jang-an PFV. In the case of Baekun Valley, the project was very successful, so w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fits were distributed. The invested funds come in after 5 to 10 years. Until the profits are recovered, all local public corporations will inevitably operate at a loss.
Structure-wise, it takes a lot of time for urban corporations to contribute to the citizens, so we have to prepare sufficiently in advance.
Regardless of such large-scale investments, if a deficit of about 2 billion won is expected every year, shouldn’t we make up for it every year?
That’s why I always emphasize to my employees, ‘For our own businesses, we need to come up with ideas and come up with ways to generate profits, and for the public service sector, we need to work hard to become a company loved by the citizens.’
So how are we going to make up for the 2 billion won? We need to diligently prepare for the large-scale project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As proven by Baekun Valley, urban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Gocheon-Ojeon industrial complex redevelopment project take at least 5 to 10 years to generate profits. Since it takes so long, it’s not right to forget about the profits we received from Baekun Lake, so let’s find small businesses based on public interest that we can live off of in the meantime.
So I’m thinking that I’ll definitely make it so that I can earn about 2 billion won every year during my term. I’m currently pushing forward with them one by one.
I’ve brainstormed with my employees many times, saying, “If there’s a public interest aspect, even if it’s a street food stall, bring us every idea with the attitude that we can do business with.” If even one out of 100 ideas succeeds, it’s a great success as a business.
The first thing we’re pushing forward with right now is solar energy. The second is to build a building on our own land, which isn’t much, and generate rental income from the building.
We’re reviewing the feasibility, but if we earn about 500 million won a year from solar energy and another 500 million won from building rental income, wouldn’t that be about 1 billion won?
Then, we can easily earn another 1 billion won through other services and such. If that happens, we won’t be criticized for having operating losses in our financial statements. A corporation is a company. We can operate it by earning a small amount of money through public interest projects, and later, when we have large-scale business profits, we can invest that large-scale business profits in other businesses.
Now that this year is over, I don’t think there will be that much loss in our year-end financial statements starting next year. Of course, when we invest a lot, our operating losses can increase.
Anyway, after reviewing our financial statements, if we continue like this without investing, we will lose about 2 billion won every year, so I think we will create a business structure that will allow us to steadily make up for that 2 billion won, and that’s what we are doing now.”
How did you come up with the idea for the solar power business? What are your plans for the future?
“Actually, Gyeonggi Province has a provincial subsidy application open until March 14. Since we were pressed for time, we prepared to apply for provincial subsidy applic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Of course, we had communication with the city before, but among the many public sites for solar power projects, one or two sites seem to be difficult due to safety issues and other issues. Excluding those, we are currently reviewing the feasibility of the rest. In fact, since the provincial support is in the form of a loan, we are now pushing forward with the project regardless of whether we receive it or not. We are currently reviewing idle sites in several public facility sites in Uiwang City. If the feasibility is proven, we will install solar power within this year and create a structure where we can start generating income starting next year. It is still early days, so we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but if we look at the yield for about 20 years, the company reviewed it internally and said that it will break even within 7 years. We will know exactly once the feasibility review results come out, but after 7 years, all of that will be revenue.”
How will you develop the Uiwang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What is your vision?
“The corporation is not a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 or anything like that, so it must have a model that can generate a certain amount of revenue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Basically, we plan to carefully take care of things like business revenue by fiscal year. The corporation cannot take a single step without the citizens of Uiwang City. If the city does not develop and become a structure that is loved by the citizens, it will be difficult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corporation.
From that perspective, I plan to first strengthen the corporation’s business structure and, through the consciousness innovation of our employees, lay the foundation and operate it during my three-year term so that it can become a public corporation truly loved by the citizens.”
What are your specific plans for laying that foundation? “I plan to create a profit model through small-scale development. In terms of business structure, I will steadily prepare for large-scale development and create a structure where I can generate profits every year through small-scale development. I plan to generate profits through small-scale development and small-scale multi-variety business. It is very important to do one big thing, an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consistently do several small things one by one.
In relation to employee awareness, I emphasiz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 lot.
In order to make sure that employees work hard and achieve results, I will reward them, so I have made each team compete starting this year.
There may be some resistance from employees, but I have consistently persuaded them by saying, ‘We should all grow the pie together. It is not about you eating more and I eating less from that small pie. Let’s grow the pie more. So even if I eat a little less from the big pie, it is much better than eating more from the small pie.’ I have consistently persuaded them and they are very sympathetic.
Starting this year, I have already created a structure where if you really achieve a lot, you will receive more rewards accordingly.” What are the employees’ reactions?
“We haven’t established detailed standards yet. We explained it sufficiently to the employees during the ‘New Management Strategy’ declaration ceremony on February 18. At that time, the employees’ reactions were, ‘Oh my, we really have to work hard.’ Since there aren’t many employees, we ask employees who just joined the day before yesterday to come in if they pass by and hear their opinions. When we say, ‘Evaluate what the CEO is doing now,’ the employees honestly say, ‘We will work hard.’ When we say, ‘Don’t say that in front of the CEO,’ they say, ‘That’s true.’ No organization can pull everyone together 100%. Even if it’s not 100%, the employees’ opinions are quite good.”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say as a final remark? “There is a saying in the Book of Changes that goes, ‘궁적변(窮卽變), 변적통(變卽通),통적구(通卽久)’. It means, ‘When you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you must change, when you change, you will be able to communicate, and when you are able to communicate, it will last a long time.’
In the local community, we cannot achieve anything without communicating.
If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and the president and executives, between employees,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city,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council, and betwee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citizens is not smooth, eventually arteriosclerosis will occur somewhere, and somewhere will rot and become sick. In the end, we will have a hard time, so let’s create innovation that is ‘common’, ‘communicates’, and ‘runs fast’ with ‘thumping’ goals. ‘3通’ is now our catchphrase for this year. No matter what difficulties there are, our construction company plans to push forward with ‘creating a Uiwang Urban Corporation that communicates.’
In the future, the construction company will communicate sufficiently with the city, city council, and citizens to carry out its work. I plan to go out.
I will do everything with sincerity, so I hope that the citizens, the council, and the city will watch over the process and encourag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