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관악수목원 ‘영구 개방’과 서울대에 ‘무상양여’ 동시 추진하라”
김경숙 안양시의원, 서울대 관악수목원 개방 관련 5분 자유발언 통해 주장
기사입력  2024/07/12 [16:53] 최종편집    강성봉 기자

안양시의회 김경숙 의원(국민의힘 안양라)이 7월 12일 열린 제29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서울대 관악수목원 개방과 관련 안양시에 △조속한 TF팀 구성, 서울대와 구체적인 대응 방안 마련, △관악수목원의 ‘영구적인 개방’과 서울대에 ‘무상양여’ 동시 추진, △‘무상양여 면적의 최소화’와 ‘안양수목원’으로 명칭 변경 등을 제안했다.

 

김경숙 의원은 “수목원은 생태적, 환경적인 측면의 가치와 함께 다양한 측면에서 사람에게 주는 효과가 있다”며, “관악수목원은 서울과 바로 인접한 곳에 위치하고, 안양도심에서 가까워 접근성에 있어서 다른 수목원보다 큰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안양시와 서울대가 ‘관악수목원의 조건 없는 영구개방’과 ‘무상양여’를 놓고 오랜 기간동안 협상을 진행하면서, 시민들은 1년에 두 차례 진행되는 시범개방을 통해 관악수목원을 매우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며, “최근 서울대는 관악수목원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의 지역사회 협력강화 및 자원보전을 위한 장기적 관점의 미래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김경숙 의원은 이어 “국‧도비 등을 관악수목원에 투자해 전국 최고의 관광수목원으로 개발하고 상시 개방하는 방안도 연구내용에 담겨있다”며, “안양시는 위 연구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22년 4월 9일, 시범개방을 시작으로 관악수목원은 매년 봄과 가을에 약 20일씩 시범개방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관악수목원 개방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도는 높아, 지난 2023년 가을, 시범개방을 진행했을 때는, 26일간 8만여명의 시민들이 방문했다.

 

김경숙 의원은 “관악수목원 등 산림서비스의 수요와 필요성은 충분히 입증됐다”며, 안양시에 △조속한 TF팀 등을 구성 서울대와 구체적인 대응 방안 마련, △관악수목원의 ‘영구적인 개방’과 ‘무상양여’ 동시 추진, △‘무상양여 면적의 최소화’와 ‘안양수목원’으로 명칭변경 등을 제안하며 5분 자유발언을 마무리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 일부 수정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ush for simultaneous ‘permanent opening’ of Gwanak Arboretum and ‘free concession’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Anyang City Councilor Kim Kyung-sook argues through a 5-minute free speech regarding the opening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Gwanak Arboretum

 

In a 5-minute free speech at the 2nd plenary session of the 295th Extraordinary Session held on July 12, Anyang City Council member Kim Gyeong-sook (People Power Party Anyangra) said that Anyang City should form a task force team as soon as possible regarding the opening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Gwanak Arboretum and prepare specific response plans wi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proposed the 'permanent opening' of Gwanak Arboretum and simultaneous promotion of 'free concession'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minimization of free concession area' and change of name to 'Anyang Arboretum', etc.

 

Rep. Kim Gyeong-sook said, “Arboretums hav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value as well as effects on people in various aspects,” and “Gwanak Arboretum is located right next to Seoul and is close to downtown Anyang, so it has a big advantage over other arboretums in terms of accessibility.

She said, “However, as Anyang C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ave been negotiating for a long time over the ‘unconditional permanent opening of Gwanak Arboretum’ and ‘free concession,’ citizens have been able to access Gwanak Arboretum on a very limited basis through trial openings held twice a year. “I had no choice but to use it,” he said. “Recentl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ducted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long-term future strategy for strengthening local community coopera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at Gwanak Arboretu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 Kim Gyeong-sook continued, “The study also includes a plan to invest government and provincial funds into Gwanak Arboretum to develop it into the best tourist arboretum in the country and open it on a regular basis,” and added, “Anyang City will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above study and come up with an appropriate response plan.” “There is a need to prepare,” she said.

 

Starting with the pilot opening on April 9, 2022, Gwanak Arboretum has been conducting a pilot opening project for about 20 days each spring and fall. Citizens' response to the opening of Gwanak Arboretum was high, and when a pilot opening was conducted in the fall of 2023, approximately 80,000 citizens visited for 26 days.

 

Rep. Kim Gyeong-sook said, “The demand and necessity of forest services such as Gwanak Arboretum have been sufficiently proven,” and Anyang City has △ established a task force team as soon as possible and prepared specific response plans wi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permanent opening’ and ‘free concession’ of Gwanak Arboretum. He concluded the 5-minute free speech by suggesting simultaneous promotion, 'minimization of free concession area' and change of name to 'Anyang Arboretum'.

ⓒ 경기브레이크뉴스&주간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