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장실 언제든 열려 있어…공직자 간 이해하고 배려하는 조직문화 조성 노력
2025년 1월 1일자로 발령받은 유한호 만안구청장을 지난 3월 24일 오전 그의 집무실에서 만났다. 유 구청장은 현장 중심의 적극적인 협업 행정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 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모두가 살기 좋은 만안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 구청장이 가진 구정철학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다음은 유한호 구청장과의 일문일답.
만안 구청장으로 취임하면서 가진 구정 기본 방침은 무엇인가?
“올해 만안구의 구정 방침은 △시민과 소통하는 열린 행정, △나눔과 배려하는 희망 복지, △살기 좋고 쾌적한 생활환경,△ 편안하고 안전한 도시건설, 이렇게 크게 4가지로 정했다.
이러한 구정 방침은 결국 만안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최우선 가치를 위한 세부 방향으로서 14개 동을 포함한 우리 만안구청 소속 공무원 400여 명은 더 살기 좋은 만안구를 만들기 위해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공직 내부적으로 현재 자유로운 수시 보고 체계를 통해 지역의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있고, 그간 형식적, 관행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정기 보고 회의 등이 있다. 그런 형식적인 보고는 대폭 간소화하는 등 행정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했으며, 열심히 일하는 직원은 격려하고 악성 민원이나 격무에 힘들어하는 직원의 고충은 귀담아들을 수 있도록 ‘공감밥상’이라는 특수 시책을 통해 직원 간 소통의 기회를 자주 만들고자 한다.”
▲ 유한호 구청장(오른쪽)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
|
취임 이후 만안구를 둘러본 소감은?
“나는 만안구에서 태어났고, 안양시 공직자로서 처음 발령받았던 곳이 안양3동 행정복지센터였다. 어린 시절부터 공무원 초임 시절, 그리고 만안구청장으로 부임한 현재까지 수십 년 동안 만안구를 지켜봐 왔지만, 동안구가 평촌 신도시로 인해 크게 발전한 것에 비하면 만안구는 눈에 띈 성장을 했다고 말하긴 어려운 게 사실이다.
평촌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안양시청이 동안구로 이전하고, 범계역과 평촌역 주변에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고, 귀인동 주변으로 학원가가 형성되면서 기존에 안양시의 주요 상권과 행정 중심지였던 만안구는 점차 침체기를 겪게 됐다.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만안구 최대 상권인 안양일번가의 공실률은 현재 경기 남부에서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한다. 이는 온라인 쇼핑같이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거나 경기 침체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최근 수년간 만안구의 인구가 점차 줄었던 만큼 유동 인구가 감소한 영향도 있을 것이다.
만안구가 낙후된 구도심이라는 인식과 생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최근에는 도시재생을 통해 변화하고 있으며,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만안구의 인구도 매년 감소하다가 지난해 10월 이후로 반등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고, 현재 냉천지구 주거환경 개선 사업과 진흥아파트 재건축 정비사업이 완료돼 입주가 마무리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상록지구, 안양역세권 지구 등 각종 재개발, 재건축사업으로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월판선 및 신안산선 개통, 시청사 이전과 신성장 기업 유치, 박달 스마트시티 조성 등 앞으로 계획된 개발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인구가 증가하여 상권이 활성화된다면 만안구의 정주 여건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 생각한다.”
▲ 유한호 구청장(왼쪽)이 인터뷰를 위해 만안구청장실을 방문한 진교연 일동애신문 기자와 기념촬영을 했다. ©
|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사업은?
“연초 ‘동 신년 인사회’를 통해 만안구 14개 동을 방문하면서 주민들에게 현장 행정에 힘쓰는 구청장이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바 있다.
만안구에서 추진하는 특수 시책 중 하나인 ‘만문현답’은 “만안구의 문제는 현장에 담이 있다”는 의미로 재난 위험 취약지역이나 주민 불편이 있는 현장을 구청장과 관련 부서 팀장이 직접 방문하여 다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기존에 운영했던 방식을 확대 추진하고자 올해부터는 매월 1회 이상 현장 점검을 실시하며, 분기별로 시·도의원과 함께 지역 현안을 논의하는 합동 방문도 진행한다.
2025년 1,2차 만문현답 현장 점검에서는 협신식품 주변 악취 문제, 제일산업 진입로 주변 토사 문제 등 17곳을 둘러보았다. 3차~6차 만문현답 현장에서는 시·도의원과 함께 안양1동 진흥아파트에서 안양초등학교 방향 통학로 안전 확보 문제 등 15곳의 민원 사항을 확인하고 조치 방안을 논의했다.
이러한 현장 중심의 적극적인 협업 행정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 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모두가 살기 좋은 만안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의 구정 운영 방향과 할 일은?
“만안구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동시에 새로운 도약과 변화를 준비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시에서도 만안구의 잠재력을 살린 여러 개발사업들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런 일들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구에서도 함께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도로, 녹지 등과 같은 기반 시설 유지관리를 통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서비스 제공, 신속한 인허가 업무 처리를 통한 행정 편의 제공 등 구정을 두루 살피는 것이 나의 역할이다.
▲ 유한호 구청장(정면 왼쪽 세 번째)이 안양1동 신년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했다. ©
|
‘동 신년 인사회’ 때 구청장실은 언제든지 열려있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
앞으로도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계획이다.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어느 곳에 문제가 있는지 빠르게 파악하고, 주민 생활과 밀접한 시책 사업들이 더 많이 알려질 수 있도록 주민들과 만남의 자리를 갖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구청장으로 취임한 직후부터 지금까지 14개 동의 경로당 회장 간담회와 사회 단체장 간담회를 통해 많은 분들과 소통했다.
마지막으로 공직자 간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 과도한 업무량, 악성 민원, 보수적인 조직문화, 낮은 보수 등의 이유로 공직사회를 떠나는 공무원들이 많아지고 있다. 휴직하거나 그만두는 직원이 많아지는 만큼 결원에 따른 부담은 고스란히 옆에 있던 직원이 전가되어 업무가 더 과중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직원들끼리 서로 어려움을 공감해 주는 따뜻한 조직문화가 필요하고 간부 공무원에게는 권위적이기보다는 부드러운 리더십이 필요하다. 저를 비롯한 선배 공무원들이 후배 공무원들을 잘 이해하고 이끌어줄 수 있는 공직사회가 된다면, 결국 주민들을 위한 행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박경화 기자
▲ 유한호 만안구청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이 안양1동 신년인사회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한해의 안녕을 기원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
아래는 위 기사를 ‘Google 번역’으로 번역, 일부 수정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Google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amended.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terview] Anyang-city Manan-gu District Mayor Yoo Han-ho
“I will make Manan-gu a good place to live with proactive,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centered on the field”
The mayor’s office is always open… Efforts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mong public officials
On the morning of March 24, I met Anyang-city Manan-gu District Mayor Yoo Han-ho, who was appointed as mayor on January 1, 2025, in his office. Mayor Yoo is working to quickly resolve residents’ inconveniences and create a Manan-gu where everyone can live well through proactive,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centered on the field. I heard about Mayor Yoo’s administrative philosophy and future plans. Editor
What are the basic administrative policies you have upon taking office as Anyang-city Manan-gu District Mayor?
Manan-gu’s administrative policies this year are broad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pen administration that communicates with citizens, △welfare for hope through sharing and consideration, △a good and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of a comfortable and safe city. These administrative policies are ultimately detailed directions for the top priorit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Manan-gu, and the approximately 400 civil servants belonging to Manan-gu Office, including 14 dongs, are working together with one mind and one heart to make Manan-gu a better place to live.
In addition, internally, the current free reporting system is used to quickly grasp the local trends, and there are regular reporting meetings that have been held formally and conventionally. Such formal reporting has been greatly simplified to increas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through a special policy called ‘Empathy Table’, we are trying to create frequent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so that we can encourage hard-working employees and listen to the complaints of employees who are struggling with malicious complaints or overwork.
What are your thoughts on touring Manan-gu since taking office?
I was born in Manan-gu, and the first place I was assigned as a civil servant in Anyang was Anyang 3-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I have been watching Manan-gu for decades, from my childhood to my first term as a civil servant and now as the mayor of Manan-gu,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Manan-gu has grown significantly compared to Dongan-gu, which has developed significantly due to Pyeongchon New Town.
As Pyeongchon New Town was developed, Anyang City Hall was relocated to Dongan-gu, new commercial districts were formed around Beomgye Station and Pyeongchon Station, and an academy district was formed around Guin-dong, so Manan-gu, which was previously Anyang City’s main commercial district and administrative center, gradually entered a period of stagnation.
According to recent media reports, the vacancy rate of Anyang 1st Street, the largest commercial district in Manan-gu, is currently the highest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such as changes in consumer trends such as online shopping and the economic downturn, but the de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may also have been an effect, as the population of Manan-gu has gradually decreased in recent years.
Although Manan-gu is perceived as an underdeveloped old city center and has an image of lacking living infrastructure, it has recently been changing through urban regeneration and is being evaluated as an area with high potential for development.
The population of Manan-gu also decreased every year, but has been on a steady increase since October of last year, and the Naengcheon Distric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Jinheung Apartment re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ject have been completed and residents are finally moving in. It is expected that the population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due to various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in the Sangnok District and Anyang Station area.
If the planned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opening of the Wolpan Line and Shinansan Line, the relocation of the city hall and the attraction of new growth companies, and the creation of the Bakdal Smart City, proceed smoothly and the population increases and the commercial district becomes more active, I think the living conditions in Manan-gu will also greatly improve.
What are the main projects that you are focusing o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I visited the 14 districts of Manan-gu through the ‘Dong New Year’s Greetings’ and told the residents that I would become a district mayor who puts effort into on-site administration. One of the special policies promoted by Manan-gu is ‘Manmunhyeondap’, which means “Manan-gu’s problems are contained in the field”. It is operated by having the district head and the team leaders of related departments visit disaster-prone areas or sites where residents are inconvenienced in person and seek solutions together.
In order to expand the existing method, starting this year, on-site inspections will be conducted at least once a month, and joint visits to discuss local issues with city and provincial council members will also be conducted quarterly.
In the 1st and 2nd Manmunhyeondap on-site inspections in 2025, 17 locations were inspected, including the odor problem around Hyupshin Food and the soil problem around the Jeil Industry access road. In the 3rd to 6th Manmunhyeondap on-site, 15 complaints were confirmed with city and provincial council members, including the safety of the school route from Anyang 1-dong Jinheung Apartment to Anyang Elementary School, and countermeasures were discussed.
Through this kind of on-site-centered, active, collaborative administration, we are working to quickly resolve residents’ inconveniences and create a Manan-gu where everyone can live well.
What ar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istrict administration and what should we do?
Manan-gu boasts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but it is also a region preparing for a new leap forward and change. The city is also promoting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that utilize the potential of Manan-gu, and the district wants to support them so that these projects can proceed smoothly.
In addition, my role is to thoroughly look after the district administration, such as creating a safe environment through the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green spaces, providing welfare servic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convenience through quick processing of permits and licenses.
I told you at the ‘Dong New Year’s Greetings’ that the district mayor’s office is always open.
I plan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residents in the future. I am trying to listen to the voices of residents to quickly identify where problems exist, and to have meetings with residents so that the policies closely related to residents’ lives can be more widely known. Since taking office as district mayor, I have communicated with many people through meetings with the heads of 14 neighborhood senior centers and social groups.
Lastly, I will strive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public officials understand and care for each other. There are many civil servants who are leaving the public service due to excessive workload, malicious complaints, conser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low pay. As more employees take leave or quit, the burden of vacancies is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employees next to them, and a vicious cycle of increased workload continues. In times like these, a warm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employees empathize with each other’s difficulties is needed, and executive civil servants need soft leadership rather than authoritarianism. If the public service becomes one where senior civil servants, including myself, can understand and lead junior civil servants well, I believe it will ultima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dministration for the residents.